The Homogeneous Regions and Functional Region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Seoul

서울시 등질지역과 기능지역의 구조 분석

  • 손승호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homogeneous regions and functional regions in Seoul based on B.J.L. Berry's ‘general field theory of spatial behavior’. The structure of homogeneous regions by using socio-economic variables can explain how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city are arranged. It can be ssid that Seoul has shifted towards more complicated and differentiated features in terms of homogeneous regions. The different patterns are found between the northern part to Han River where old torn areas are located and the southern part to Han River where newly urbanized areas are located. Usually, the concentric pattern and the sectoral pattern coexist, which is enhanced moving from CBD to the outskirt area.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social classes shows irregular pattern similar to the variation of living environment. The social gap is expected to be more widening between new towns and old towns. The analysis of spatial movement pattern shows no clear hierarchical order because of current shifts towards both multi-nuclear pattern and spatial dispersion. The functional regions show duplicated structure overlapping their boundaries each other. The ‘general field theory of spatial behavior’ strongly suggests that spatial interactions among sub-areas in the city are differentiated from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each sub-area. The attributes of homogeneous regions and functional regions are interrela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isomorphic nature.

본 연구에서는 B.J.L. Berry가 제시한 ‘공간행동의 일반적 장이론’에 의거하여 등질지역적 관점과 기능지역적 관점에서 거대도시 서울의 다차원적이고 입체적인 지역구조의 해명을 시도하였다. 도시구성요소의 배열상태인 등질지역구조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지구의 사회 경제적 속성을 반영해주는 변수를 이용하여 지역구조에 내재하고 있는 주요 인자를 추출한 결과, 과거에 비해 서울의 지역구조가 점차 복잡하고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울의 등질지역은 구시가지가 지배적으로 입지한 한강 이북과 신시가지가 입지한 한강 이남에서 상이한 패턴으로 전개되었으며, 중앙의 중심업무지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동심원 배열과 선형 배열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거주자의 사회계층 분포특성이 생활환경의 공간적 불균형 패턴과 일치함으로써, 사회계층간 격차에 의한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유동의 공간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동패턴에 대한 분석에서는 통행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해 온 도심 중심의 통행권이 최상위에 자리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서울의 도시구조가 다핵화 분산화해가는 과정에서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일극집 중도가 완화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유동패턴을 토대로 형성된 기능지역은 각기 권역적 중복에 의한 중층적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행동의 일반적 장이론에 입각하여 실시한 등질지역과 기능지역간의 상호의존관계 분석을 통해, 도시를 구성하는 하위지역간의 공간상호작용은 각 지역이 가지는 속성과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이는 곧 등질지역적 속성과 기능지역적 속성이 상호의존적이며 이종동형(isomorphic)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 1981, ‘서울 도심활동의 입체적 공간이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6(2), 10-25
  2. 권태준 외, 1999, 도시. 지역과 산업,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수령, 1992, '서울의 다핵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7, 31-53
  4. 남영우, 1985, 도시구조론, 법문사
  5. 문창현, 1999, 지하철. 전철교통 유동체계의 분석을 통한 서울시의 지역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민승기, 1993, ‘도시지역 다핵화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교통정보, 87, 16-30
  7. 서울특별시, 2003, 2002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8. 손승호, 2003,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69-83
  9. 송미령, 1997, 도시공간구조와 통근통행에 관한 연구. 서울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양재섭, 2003, 서울 도심부의 주거지 특성과 거주인구변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양재섭, 2004, ‘서울의 지역격차 현황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연구 포커스,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8
  12. 이상경, 1991, 통근인구유동과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수도권의 지역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명진, 1995, ‘다핵도시공간구조하에서의 통근행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0(2), 223-236
  14. 전명진, 1996, ‘서울시 도심 및 부도심의 성장과 쇠퇴 -1981-1991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1(2), 33-45
  15. 최원회, 1988, ‘대전시의 도시내부 인구이동의 구조와 사회. 경제적 특성‘ 국토계획, 23(2), 55-91
  16. 최주영, 1997, ‘도심재개발 지구 공간이용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11), 237-244
  17. 허명회. 양경숙, 2001, SPSS 다변량 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18. 藤目節夫, 1977, ‘香川中央都市圈における交通流の諸特性ならびに都市構成との關係に關する硏究,‘ 地理學評論, 50(12), 700-721
  19. 北田晃司, 2000, ‘都市間旅客流動からみた韓國都市システムの空間構造,’‘ 地學雜誌, 109(1), 106-119
  20. 市南文一, 1978, ‘社會. 經濟的地域特性と地區間通動人口とからみた流動名古屋大都市圈の地域構造" 地理學評論, 51(7), 545-563
  21. 田邊健一編, 日本の都市システム, 古今書院, 東京
  22. 村山祐司, 1990, 地域分析 -地域の見方. 讀み方. 調べ方-, 古今書院, 東京
  23. 村山祐司, 1991. 交通流動の空間構造, 古今書院, 東京
  24. Ayeni, B., 1979, Spatial interaction in the urban system, Concepts and Techniques in Urban Analysis, Croom Helm, London
  25. Berry, B.J.L., 1966, Interdependency of flows and the spatial structure: a general field theory formulation, in Essays on Commodity Flaws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Indian Economy, Dept. of Geogr., Res. Pap., 111, Univ. of Chicago, Cicago, 189-256
  26. Clark, D., 1973, The formal and functional structure of Wales, A. A. A. G., 63(1), 71-84
  27. Davies, W.K.D., 1978, Spatial patterns of commuting in South Wales, 1951-1971: a factor analysis definition, Regional Studies, 12, 353-366
  28. Goddard, J. B., 1970, Movement systems, functional linkages, and office location in the city center: a study of Central London, in Bourne, L. S.(ed.) 1982, Internal Structure of the City, Oxford Univ. Press, New York, 422-427
  29. Haggett, P., et al, 1977, Locational Analysis in Hurnan Geography 1, Arnold, London
  30. Illeris, S. and Pedersen, P.O., 1968, Central places and functional regions in Denmark: factor analysis of telephone traffic, Geografisk Tidsskrift, 67, 1-17
  31. Kanno, M., 1976, Canonical analysis of commodity flows and socio-economic structure in major U.S. Metropolitan Areas,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49(4), 197-215
  32. Masser, I. and Scheurwater, J., 1980, Functional regionalisation of spatial interaction data: an evaluation of some suggested strateg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2, 1357-1382
  33. Ray, D.M., 1971, From factorial to canonical ecology, the spatial interrelationships of econom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Canada, Economic Geography, 47, 344-355
  34. Schwind, P.J., 1975, A general field theory of migration: United States, 1955-1960, Economic Geography 51(1), 1-16
  35. Slater, P.B., 1989, A field theory of spatial interac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A, 21, 121-126
  36. Smith, R.H.T., 1970, Concepts and methods in commodity flow analysis, in Hurst, M.E.E. (ed.), 1974, Transportation Geography: Comments and Readings, McGraw-Hill, New York, 131-145
  37. Ullman, E.L., 1954, Geography as spatial interaction, in Hurst, M.E.E. (ed.), 1974, Transportation Geography: Comments and Readings, McGraw-Hill, NewYork, 29-40
  38. Wheeler, J.O., and Mitchelson, R.L., 1989, Information flows among major metropolitan areas in the United States, A. A. A. G., 79(4), 52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