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ew Conceptual Faucet Design to Which Flow-meter is attached

유량 측정기기 부착 수전금구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박성룡 (서울시립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Generally, they respond to a phenomenon, with their any way, which they have looked at in their surroundings, and also put into their action successively and variously according as what it is. A person who has not so much problems in experiential education added to mental and physical ability prefers controlling his manner by himself as seeing, listening and feeling to being cured it by other physical support. Meanwhile, even though there are tools that we use conveniently in everyday life, it is sometimes required that user is able to control his action by himself with a certain interactive function to deal with a accidental situation. For example, in the home, when they were cooking, washing dishes and taking a bath they would not often control their minds on how to act about flowing water through the faucet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saving and easygoing. By reasons of those statements, the project has been studied to propose the new conceptual faucet which digital technology is applied to, for recognizing the volume of water flowed through water pipe as counting it with built-in flow meter, and then saving water as controling the water-flow with faucet lever. It means that homemakers can observe the flow rate of water from the faucet placed in front of the sink in kitchen and control it right away for saving water. For studying this project, the kinds and features of the various flow-meters that measure the volume of water-flow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for taking a reasonable type to the new ideal faucet. According to this analyzing, turbine-flow-meter was selected as appropriate form for the digital display-built-in faucet that would be presented in this project. As the next step, the basic structure was created for developing a new conceptual faucet. Finally two models have been presented through several steps for making the suitable shape to the new style faucet.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어떤 현상을 눈으로 보고 그것에 대해 각자 어떤 방식으로든 반응한다. 그리고 보여 지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아주 다양한 순차적 행동이 이어진다. 육체적, 지적인 능력과 경험적 교육에 대한 큰 장애가 없는 사람일수록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한 행위의 교정보다는 보고, 듣고, 느낌에 의해 자발적으로 행동을 규제하는 쪽을 선호한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도구들일지라도 사용자 스스로 행동을 규제해야 하는 기능들이 상황에 따라 빈번히 요구된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측면에서 별로 의식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으나 무언가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뚜렷한 대안을 찾지 못한 채 현재의 기능에 적응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가정에서 요리나 설거지, 혹은 세면이나 목욕 시에 수도꼭지를 틀지만 계몽적인 측면에서 익히 접해온 절약이란 말과 안이한 행동사이를 오가면서 스스로를 제어하지 못한다. 이런 점에서 흐르는 물의 양을 작업 공간내에서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춘 도구가 있다면, 모두에서 언급하였듯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행위를 조절 할 수 있으며, 또한 정확한 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후속적인 행동에 아주 요긴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공간에서의 유량측정이 가능한 수전금구는 시대적 조류와 더불어 디지털의 기술을 적용한 유량측정센서를 수도꼭지에 부착하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나 형태를 최적화하는 조형 작업을 통해 시대 조류에 부응하는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로 하는 수전금구에 대해 사회적, 환경적 요구에 부합하며, 이종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기능적, 구조적, 조형적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향후 이와 관련된 유사한 제품개발의 참고 자료를 마련 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