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ever for the Gateway Supporting Home Networking Using the UML

UML을 이용한 흠 네트워킹 지원 게이트웨이 관리 서버 설계 및 구현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Recently, public home have used a more than two computer connected with network, and several home appliances using independently with internet or network are developing to be related closely with the network. Therefore, the home utilized for a simple terminal of the global network in the past is being expanded to another part of the sub network. For a variety of connecting home-area protocols with the existing existing network, we require a new Residential Gateway(RG) that does not only make the home-area network operating in the sub network but also connects to the external network. In this paper, RG has intrinsic limits against flexible service due to IP address assignment and hardware capac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RG, we propose a Management Server(MS). The MS that offers the integrated managements and control services for a variety of devices connected the RG in the home-area. It can not only solve the dynamic IP address assigning problem but also assigns private IP addresses to the home network devices through the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 It also provides somewhat useful functions for the home network and the RG for other additional services. <중략> The MS is using a SNMP protocol for managing the RG in the domain, a polling method of the MS and the RG compose a sequence polling method, a polling method using a multi-process and a multi-threa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problem with polling method separately, show a polling method between the MS and the RG using a multi-thread.

최근에 일반 가정에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운용되던 가전 기기들이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서브 네트워크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던 가정 자체가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되어가는 추세로 이어진다. 가정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규약들을 기존에 구축된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를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아여 이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는 RG(Residential Gateway)가 필요하다. 그러나 내장형 시스템인 RG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를 제안하였다. 관리 서버의 시스템 구조를 통해서 하드웨어의 문제를 해결하고 각 기기들에 사설 IP를 할당하여 IP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원격에서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서 도메인내의 모든 RG 및 정보가전들을 관리,감시,제어가 가능하고 HTTPS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에 대한 보란 수준을 높이는 웹 기반의 접근 방법을 관리 서버에서 제공한다. <중략> 관리 서버의 UI는 UML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모드로 접속하도록 설계하였다. 설계된 3가지 모드는 관리자 모드,RG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NMP를 사용하고 있으며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폴링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다중 쓰레드를 이용한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을 나타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