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Sustainable Yield for a Small Rural Watershed

농촌 소유역의 지하수 지속가능개발량 평가

  • 박기중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 정상옥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An experimental watershed was selected and sustainable yield was evaluated. The study area(3.89$\textrm{km}^2$) was located in Kyungpook Sangju Yangchon-dong. The visual MODFLOW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observed and estimated groundwater table. The analysis of the observed and estimated groundwater table from 19 March 2003 to 18 March 2004 showed that the average error was 0.0009m, the error sum of squares 7.245$m^2$, absolute mean error 0.094 m, root mean square error 0.141m, and the model efficiency was 92%. The normal, 10- and 30- year drought frequency years were selected and sustainable yield was evaluated in these periods. Ratios of sustainable yield to the annual infiltration were 14.5% for the normal year(1992), 15.1% for the 10-year(1994), and 15.2% for the 30-year drought frequency year(1982).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ning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실제유역을 선정하여 지속가능 개발량을 평가하였다. 시험유역은 경북 상주시 양촌리 일대(3.89$\textrm{km}^2$)이며, 관측수위와 모형 추정수위를 분석함으로써 visual MODFLOW모형을 검정하였다. 2003년 3월 19일부터 2004년 3월 18일까지 모형 추정수위와 관측수위를 분석한 결과, 잔차의 평균은 0.0009m, 잔차 제곱합은 7.245$m^2$, 절대평균오차는 0.094m 제곱근오차는 0.141m였으며, 모형의 효율은 92%로 나타났다. 강우자료를 분석하여 평년, 10년, 30년 빈도 한발년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지속가능 개발량을 평가하였다. 시험유역 침투량에 대한 지속가능 개발량의 비는 평년 빈도 한발년(1992)은 14.5%, 10년 빈도 한발년(1994)은 15.1%, 30년 빈도 한발년(1982)은 15.2%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개발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2. 건설교통부 (2002). 지하수관리기본계획. 건설교통부, pp. 112
  3. 김형수, 원이정 (2001). '금강 용담, 공주, 규암 수문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방식 지하수 개발 가능량 예비 산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43-147
  4. 농림부 (1999). 농업.농촌용수 종합이용계획.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pp. 104-145
  5. 농림부 (1999). 농촌용수 수요량조사 종합보고서 : 부록 I.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pp. 725-728
  6. 박재성, 김경호, 전민우, 김지수 (1999). '소유역의 지하수 함양율 추정기법.'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환경학회, 제6권, 제2호, pp.76-86
  7. 정상옥 (2004). '일본 큐슈 구마모토 지역의 지하수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74-81
  8. 정영훈, 김경호 (2000), 'SCS-CN 방법에 의한 미원면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충북대학교, 제19권, 제2호, pp.181-190
  9. 최병수, 안중기 (1997). '소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서 SCS-CN 방법의 적용.' 농공기술, 농업기반공사, 제56권, pp. 11-20
  10. 최병수, 안중기 (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환경학회, 제5권, 제2호, pp. 57-65
  11. Domenico, P.A. (1972). Concepts and models in groundwater hydrology. McGraw-Hill, New York
  12. Freeze, R.A. (1971). 'Three-Dimensional, Transient, Saturated-Unsaturated Flow in a Groundwater Bas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7, No. 2, pp. 347-366 https://doi.org/10.1029/WR007i002p00347
  13. Freeze, R.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Inc.
  14. He, C. (1999). 'Use of hydrologic budget and chemical data for groundwater assess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5, No. 4, pp. 234-23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9)125:4(234)
  15. Meinzer, O.E. (1920). 'Quantitative methods of estimating groundwater supplies.'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31, pp. 329-338 https://doi.org/10.1130/GSAB-31-329
  16. SCS (1971).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 Section 4. HYDROLOGY, USDA, USA
  17. Todd, D.K. (1980). Groundwater Hydrology : Second Edition. John Wiley Sons
  18. Utah State University (1991). REF-ET :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calculation software. pp. 40
  19. Waterloo Hydrogeologic Inc. (1997). Visual MOD-FLOW User's Mannual
  20. Welby, C.W. (1984). 'Ground water yields and inventory for land-use planning in crystalline rock areas of Wake County, North Carolina.'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0, No. 6, pp. 875-885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4.tb0479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