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개발량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Sustainable Yield for a Small Rural Watershed (농촌 소유역의 지하수 지속가능개발량 평가)

  • Park, Ki-Jung;Chung, Sang-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7
    • /
    • pp.581-587
    • /
    • 2004
  • An experimental watershed was selected and sustainable yield was evaluated. The study area(3.89$\textrm{km}^2$) was located in Kyungpook Sangju Yangchon-dong. The visual MODFLOW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observed and estimated groundwater table. The analysis of the observed and estimated groundwater table from 19 March 2003 to 18 March 2004 showed that the average error was 0.0009m, the error sum of squares 7.245$m^2$, absolute mean error 0.094 m, root mean square error 0.141m, and the model efficiency was 92%. The normal, 10- and 30- year drought frequency years were selected and sustainable yield was evaluated in these periods. Ratios of sustainable yield to the annual infiltration were 14.5% for the normal year(1992), 15.1% for the 10-year(1994), and 15.2% for the 30-year drought frequency year(1982).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ning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ensitivity Analysis of the Groundwater Flow Model Parameters in a Small Rural Watershed (농촌 소유역에서 지하수 유동 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Park, Ki-Jung;Chung, Sang-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8
    • /
    • pp.687-693
    • /
    • 2004
  • The MODFLOW simulated results with varying input parameter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put parameters,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amount of sustainable yield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specific yield, specific storage, aquifer thickness and the distance of the wells from the river.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inflow from the river and the aquifer storage were sensitive to the specific yield and aquifer thickness. Sustainable yield was sensitive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aquifer thick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ning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Groundwater Re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13-1917
    • /
    • 2009
  • 국제사회의 분위기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에너지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수자원의 지속적인 확보와 개발은 가장 현실적이고 우선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자원확보/환경/개발 및 이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간의 정량적 성과가 하나 둘씩 도출되어 적용 단계에 이르기도 하였다. 하지만 지하수의 경우 기초자료의 미흡과 불확실성,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에 대한 산정기법의 적용성 문제, 체계화된 개발 및 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는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이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잠재적 지하수오염 가능성이 높아져 지하수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하천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개발가능량의 평가 및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나 지하수함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상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지하수함양량에도 매년 변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개발가능량도 변하고 있어 지하수 개발과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 현상으로 변화하는 토지피복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1961년부터 2007년까지의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토지피복상태는 1975년 이전까지는 시가화지역이 18.6%, 농업지역이 30.0%, 산림이 48.8%, 초지가 0.1%, 나지가 2.0%, 수역이 0.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sim}$1985년에 농업지역이 18.3%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15.0% 증가하는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1995년${\sim}$2000년에도 농업지역이 5.5% 감소하고 시가화지역이 5.4%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전 연도에 걸쳐 산림지역과 초지, 나지, 수역에서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연구대상지역의 평균 강우량은 1509.3mm이고 지하수평균함양량은 216.0mm이며 지하수평균함양률은 14.3%로 나타났다. 연최대함양량은 강우량이 2138.1mm인 1970년에 408.9mm이며 연최대함양률은 강우량이 1492.6mm인 1984년에 19.8%이다. 연최소함양량은 강우량이 901.5mm인 1988년에 71.9mm이며 연최소함양률은 같은해에 8.0%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의 증가에 따라 강우량은 증가하였으나 지하수함양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prioritization important areas for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한국의 지하수자원 중요 우선순위 지역 선정 기법 개발)

  • Kim, Il Hwan;Kim, Min-Gyu;Chang, Sun Woo;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6-266
    • /
    • 2021
  • 산업의 발달로 지표면의 포장면적이 증가하여 지표의 유출량은 증가하고, 지하수계로의 함양량은 감소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강우의 패턴이 변화하여 강우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무강우일수 또한 증가하여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수자원의 양은 증가하고 있다. 대수층으로의 함양량은 줄어들어 지하수자원의 양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의 활용을 위해서는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을 적용하고, 지하수자원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효과적인 관리방안의 적용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지하수자원이 중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한 지하수자원의 활용을 도모해야 한다. 지하수 이용량이 많고 지하수자원에 대한 의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4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자원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지하수자원 이용 중요지역 선정을 위해서는 지하수 이용량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총 5개의 지표가 선정되었으며 지하수 이용량, 수자원 이용량 중 지하수 이용량 비율, 지하수 이용 관정 개수, 지하수 이용 관정 당 취수량, 면적대비 지하수 취수량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추후 유역을 좁혀 지하수 이용에 대해서 정밀 평가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지형 특성 인자, 기후 특성 인자 등을 추가하여 평가한다면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의 이용을 위한 관리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Nam-W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4 no.5
    • /
    • pp.433-442
    • /
    • 2011
  • In Korea, groundwater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estimation of annual average of groundwater recharge. Since groundwater recharge and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show spatiotemporal variat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dynamic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SWAT-MODFLOW,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was used to analyze surface-groundwater interactions for various groundwater pumping scenarios in Musimcheon watershed. When current usage is applied, the baseflow reduction is about 16%, and annual averaged storage reduction is about 27 mm for whole watershed. As a holistic approach to groundwater sustainability considers the hydrological, ecological, socioeconomic, technological aspects of groundwater utilization, the exploitable groundwater should be determined by physical analysis as well as social compromise in a community.

The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canal wa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주운시설 도입에 관한 연구 (인천 청라지구를 중심으로))

  • Jeon, Jei-Bok;Kwon, Myeong-Sin;Kim, Ji-Ho;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62-14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라지구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구내 하천 및 공원에 최적의 주운시설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역의 일반현황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주운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수, 치수, 환경 측면에서 주운시설 도입을 위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물수지분석, 담수량 및 손실량 파악, 물갈이율 조사 등을 통해 필요수량을 파악하였으며, 산정된 필요수량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수, 상수원수, 상수도, 유역관리 등의 다각도의 수량확보 방안을 검토하여 적용가능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천수질현황, 국내외 수질기준, 생태계 친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목표수질을 설정하였으며, 유역, 하천, 호수공원 및 내부수로 등에 적용가능한 수질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근하천, 중앙호수 공원, 내부수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역통합관리 차원의 치수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운시설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치수안전성 확보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간척지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항구적인 치수 및 이수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최첨단 유지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안전시설 확보를 통해 재해로 부터 안전한 주운계획을 제시하였다. 향후 청라지구-서해-굴포천 방수로-한강을 잇는 해상과 연계된 주운 개발을 통한 광역운하망 구축 방안을 제고하였다. 향후 주운시설의 도입에 따라 도시의 어매니티 증진과 친수도시 구현, 물순환 확보와 치수에 안전한 방재도시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Trend of Sustainable Recycling Systems of Spent Nuclear Fuels (지속가능한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 동향)

  • Kim, Seong-H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0 no.3
    • /
    • pp.236-241
    • /
    • 2011
  • In this study, considering a degree of proliferation resistance and sustainability, development status of perspective recycling systems for spent nuclear fuels (SNF) is comprehensively reviewed on the basis of the urgent needs of sustainable management measures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such as spent nuclear fuels (SNF).

Sustainable Desig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Embodied Energy Optimization Technique (내재에너지 최적화를 통한 철근 콘크리트 보의 지속가능 설계법)

  • Yoon, Young-Cheol;Kim, Kyeong-Hwan;Yeo, DongHun;Lee, Sang-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053-1063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a sustainable design method that optimizes the embodied energy of concrete beam based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effectively utilizes natural resource and energy within the range that our succeeding generation can afford to utilize. In order to get the flexural strength carrying the ultimate load, concrete beam sections are designed by optimization that consists of the embodied energy as a objective function and the requirements of design code as constrained conditions. The sustainable design can be used to minimize the embodied energy consumed in material production, construction, operation, demolition of the infrastructure.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the cost and the embodied energy optimizations based on practical beam sections, it is shown that 20% embodied energy saving and 35% $CO_2$ emission saving are achieved by sacrificing 10% cost increase. The sustainable design method provides a new effective methodology that manages the strength design concept based on cost minimization together with economic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In addition,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more various structural design practices.

Suggestion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Sustainable Highways (지속가능도로의 건설과 관리를 위한 방안)

  • Noh, Kwan Sub;Baek, Jong D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3
    • /
    • pp.156-161
    • /
    • 2016
  • An R&D project, 'Carbon Neutral Road Technologies Development', sponsor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as perform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s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global climate change. A draft of the green highway certification system, the green highway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ies for making low carbon eco-friendly roads, and Green Highway Technology Investment Evaluation System (GTIES) for estimating and managing carbon emissions from roads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results of the R&D project. A scheme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hese technologies and building sustainable road systems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was proposed in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