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자대) ;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20 plots(1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etula ermanii - Picea jezoensis - Taxus cuspidata community, Taxus cuspidata - Qurecus mongolica - Betula ermanii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uercus mongolica, Taxus cuspidata and Betula ermanii were found 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this area, Korean endemic species, Abies koreana was distributed small amounts. In future, importance percentage of Abies koreana might be decreased, but that of Betula ermanii might be increas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Betula ermanii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Acer mono; Syringa velutina and Magnolia sieboldii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lations was proved between Betular ermani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 Quercus mongolica and Acer mono; Abies koreana and Tripterygium regelii, Weigela subsessilis.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1.0316∼1.1776 and it was similar to those of the ridge area of the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용, 호령봉 지역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2.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지역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연구.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셜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환경생태학회지 10(2):240-250
  4. 김갑태,백길전(1997) 셜악산국립공원 대챙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5.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 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 1-8
  6.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1998) 한라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한국 임학회지 87(3): 361-371
  7. 김갑태, 추갑철(1999)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70-77
  8.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9. 김갑태, 추갑철 (2000)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80-87
  10. 김갑태, 추갑철(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11. 박인협(1981)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12.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립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3.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4.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