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Bulb Siz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제주지역에서 구경크기에 따른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조남기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 ;
  • 송창길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 조익환 (대구대학교 생물자원과학) ;
  • 강봉균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 조영일 (서울대학교 식물생산학) ;
  • 고미라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 박성준 (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ulb size (10, 15, 20, 25 cm) o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edible canna in Jeju region from 20 May to 24 Nov. 2003.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Plant height grew big 78.8~129.1 cm as bulb size increased 10~25 cm.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tillers and bulb per plant and stem diameter were the same trend with plant height response. Fresh matter yield increased 29.0~91.1 MT/ha as bulb size increased from 10 to 25 cm. Fresh weight of above-ground part and bulb yield were the same trend with fresh matter yield.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y^*=2.71x+60.7667$).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수량 및 총 생체수량(지상부중+구경중)은 구경 10cm 파종구에서 각각 14M7/ha, 15MT/ha, 29MT/ha이었으나,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구경 25cm 크기 파종구에서 생초수량은 31.2MT/ha, 구경수량은 35.6MT/ha, 총 생체수량은 66.8MT/ha로 증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곤, 황창주, 박현철, 소재숙, 박노풍. 1987. 천마 생리 생태적 특성과 자구 크기별 생장에 관하여. 농시논문집(작물). 29(2):177-184
  2. 김의회, 조진태, 김시동, 박조영. 1994. 조직배양감자 종서 크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충북농업과학논문집 1:99-102
  3. 노준현, 이경국. 1984. 더덕 종묘의 크기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강원농진년보. pp. 374-376
  4. 최인식, 박재성, 조진태, 손석용, 한동호, 정인명,이정일. 1995. 지황 종근의 굵기와 길이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 약작지 3(3):173-180
  5. 최인식, 박재성, 조진태, 손석용, 한동호, 정인명. 1995. 패모 종구 크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업논문집 37(2):102-105
  6. 玉置雅彦, 岸利美, 遠藤流予, 小橋健, 中村照臣. 1994. 食用カンナ(Canna edulis Ker.)のサイし一としての飼料化についての一考寮. 日草誌. 40: 333-335
  7. 栗田匡一. 1996. 食用力ンナ(Camaedu◎)の栽培とその飼料作物約價値. 熱帶農業. 11:5-8
  8. 三井計夫. 1988. 飼準作物.草地. 藝賢堂. p.514-519
  9. 小山鐵夫. 1984. 資源植物學. 講談社サイエンティフィツク, 東京. 152-155
  10. Ennos. A.R. and S. Pellerin. 2000. Plant anchorage. Insmit, A.L., A.G. Bengough, C. Engels, M. van Noordwi jk, S. Pellerin. and S. C. van de Geijneds. Root Methods: A Hand. Springer-Verlag. Berlin. 545-565
  11. Imai, K. and T. Ichihasi. 1986. Sutdies on matter production of edible canna (Canna edulis Ker.). I. Gas exchange characteristics of leaves in relation to light regemes. Jpn. J. Crop Sci. 55:360-366 https://doi.org/10.1626/jcs.55.360
  12. Inatsu, O., I. Maeda, N. Jimi, K. Takahashi, H. Taniguchi, M. Kawabata and M. Nakamura. 1983. Edible canna starch produced in Taiwan. J. Jpn. Soc. Starch Sci. 30:38-47 https://doi.org/10.5458/jag1972.30.38
  13. Perez, E., M. Lares and Z. Gonzalez. 1997. Some characteristics of Sagu (Canna edulis Kerr.) and Zulu (Maranta sp.) rhizomes. J. Agric. Food Chem. 45:2546-2549 https://doi.org/10.1021/jf960680i
  14. Soni, P.L., H. Sharma, H.C. Srivastava and M.M. Gharia. 199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nna edulis starch comparison with maize starch. Starch 42:460-464 https://doi.org/10.1002/star.199004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