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ome Economics Teachers' Concern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Implementation

기술ㆍ가정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 실행수준, 실행실태 및 관련변수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aid attention to performance assessment, to what extent and in which way they carried it out and how much support was given to that. It's basically meant to help provide more systematic support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n Interest-Based Reform Adoption Model developed by Hall. Hord and et. al. at Texas University Research &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home economics teachers from 95 second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the responses from 157 teachers were chosen for analysis. For data handling. SPSS/WIN program was utilized, and statistical data on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In addition. t-test and ANOVA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ir type of interest in performance assessment. influential type(35.0%) was most common. followed by confident type (29.3%). indifferent type(20.4%) and task type(15.3%). Second, regarding their implementation. every teacher carried out performance assessment.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fulfilled it as part of routine daily schedule(60 teachers. 38.2%). which could be called the level 4. The second largest group tried to integrate performance assessment to education programs(53 teachers. 33.8%). which could be called the level 5. The third largest group implemented it without making careful preparations for that(26 teachers. 16.6%). which could be called the level 3. and the fourth largest group tried to reinvent it(11 teachers. 7.0%), which could be called the level 6. The fifth largest group was in the middle of researching it(5 teachers, 3.2%). which could be called the level 1. And the sixth largest group was in the course of making preparations for that(2 teachers. 1.3%) . which could be named the level 2. Third. concerning how much they found themselves to be supported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they eave three or less marks to that. which showed that they weren't supported sufficiently There was little gap among them in their concern f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implementation levels. and this fact suggested that there wasn't satisfactory backup for their performance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실행실태, 지원정도를 분석하여 수행평가의 보다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지원 체제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자료는 텍사스대학의 교사 교육을 위한 연구 개발 센터에서 Hall. Hord등이 개발한 관심에 기초한 혁신채택 모형을 연구 도구로 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95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15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 카이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는 대부분이 실행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던 반면에, 실행수준은 4. 5단계에 많은 빈도를 보여 교사들은 자신의 수행평가 실행수준을 관심도가 시사하는 것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서 이는 학교에서 본인의 관심도와는 관계없이 업무상 평가와 관련된 지침을 만들고 평가에 대한 근거 자료를 남겨야 하는 교육 현장의 현실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행평가 실행실태는, 실행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수행평가 본래의 취지에 부합된 실행실태를 보여주었으며, 수행평가 시행을 위한 지원에 대한 기술$.$가정과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전반적인 평균점수가 7점 만점에 3점 이하로 나타나 지원의 정도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유형 및 실행 수준별 분석에서도 단계별 지원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실행형태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 정도를 분석한 결과는 관심유형별로 차별화 된 지원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행평가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수행평가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고, 학교당국. 교육행정가. 교육전문가 등의 변화 지원자는 수행평가 실행과정 동안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별화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을 달리함으로써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보다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교육통계연보 경기도 교육청
  2.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교육개혁위원회
  3. 교육과정 혁신 김경자
  4.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천 방안에 대한 토론 v.7 no.1 김진규
  5.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백순근
  6. 수행평가 현장 정착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가정과 수행평가 현장 적용방안 왕석순
  7. 한국 가정과 교육학회지 v.10 no.2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 윤인경(외)
  8.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현황 고지연
  9.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중·고등학교 수행평가 실태 조사 손옥기
  10.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교과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태도와 실시 현황에 대한 연구 유인영
  1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수용태세 및 실시 상황 윤종상
  12. ED 393 020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statewide performance program: school personnel perspectives Afferbach
  13.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 v.2 no.1 Inplementing New Technologies : The Impact of Telecommunications on Teachers and Students at Middle Schools Burger.N.B.;Farragher.P.
  14.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v.22 no.2 Teacher's Perception of Instructio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Staff Development Chin.S.S.;Horton.J.A.
  15. ED 412 258 Inverstigating assessment Creagh;McHaney
  16. ED 420 670 Perception and Practice: The Impact of Teachers' Scoring Experience on Performance Based Instruction and Classroom Assessment Goldberg;Roswell
  17.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Taking Change of Change Hord.S.M.;Rutherford.W.L.;Hall.G.E.
  18. 교육과정혁신 김경자(역)
  19. Measurement v.11 no.2 High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a statewide high stakes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Jett;Schfer
  20. ED 357 373 Performance assessment: Mississippi at the Cusp Keyes
  21. ED 405 365 Perceived effects of the kentucky instructional results information system Koretz
  22. D.E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instructional use of computers in undergraduate textiles, clothing, merchandising program Lee-Kang
  23.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33 524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Loucks.S.F.
  24. CSE Technical Report 409 Final report : perceived effects of the Maryland School Performance Assessment Program Mitchell
  25. ED 346 159 Science teachers' perspectives on alternative assessmen Newell
  26. ED 358 168 Urban Teachers Rate Maryland's New Performance Assessments Rafferty
  27. ED 242 718 The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Classroom Stiggins;Bridhe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