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terials and Colors between Nijo-Castle and Changdeok-Palace

니조성(二條城)과 창덕궁(昌德宮)을 통해 본 한ㆍ일 궁궐의 의장 특성 - 건축 외장 재료와 색채를 중심으로 -

  • 김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 박영순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materials and exterior colors of the traditional palaces in Korea and Japan. Nijo-Castle in Japan and Changdeok-Palace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color measurement and analysis, NCS color syste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ngdeok-Palace, Korean pine woods, granites, tiles, blue tiles, clays, Jeon-dol(Korean unique tiles for fences and ground), lime powders, straws, Korean traditional papers, bronze were used for building materials. In Nijo-Castle, however, Japanese pine woods, granites, tiles, clays, lime powders, straws, Japanese traditional papers, bronze and golds were used. As for hues in Changdeok-Palace, Y to R, G ∼ G30Y, R80B∼B, B to G were used mainly, and in Nijo-castle, Y to R, B80G∼B90G, G30Y were found. As for tones in Changdeok-Palace, every kinds of tones were used except 'Deep chromatic' and in Nijo-Castle, 'Greyish chromatic', 'Toned light grey', 'Dark deep', 'Toned dark grey', 'Toned grey' were used. At this study, the building materials and exterior colors were analyized between Changdeok-Palace and Nijo-Castle. And from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we would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of two nations, and get the concept of making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중국 건축 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온 한국과 일본의 궁궐 건축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재료와 색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두 나라의 특징을 비교하고 이해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각각 창덕궁과 니조성으로 선정하였고, 각 궁궐의 분석 대상 범위는 임금의 주요한 업무와 관련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殿)’으로 한정하였다(正殿, 便殿, 寢殿). 또한 색채 측정과 분석은 자연색체계가 사용되었다. 창덕궁과 니조성의 재료 사용 특성을 비교한 결과 창덕궁은 육송, 화강석, 기와, 청기와, 전돌, 흙, 석회, 짚, 한지, 청동 등을 사용하였고, 니조성은 편백나무, 화강석, 기와, 흙, 석회, 짚, 화지, 청동, 금 등을 사용하였다. 색상 분포에 있어서는 창덕궁이 Y에서 R사이의 영역, G∼G30Y, R80B∼B, B에서 G사이의 영역에서 나타났고, 니조성에서는 Y에서 R사이의 영역, B80G∼B90G, G30Y의 색상이 나타났다. 색조에 있어서는 창덕궁이 Deep chromatic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나타난 반면, 니조성에서는 Greyish chromatic, Toned light grey, Dark deep, Toned dark grey, Toned grey의 영역 분포를 보였다. 본 연구는 건축물 외부구성요소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재료와 색채 특성을 동시에 연구하였는데,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한ㆍ일 간의 문화를 이해하고, 각각의 문화적 특성을 차별화하는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