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사용 경험의 정황 요소 매핑에 관한 연구 : 실증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Mapping Experiential Context factors on the Website Use Experience : through analysis of practical use cases

  • 김현정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 발행 : 2004.02.01

초록

사용자 중심 디자인 노력의 일환으로 과거의 사용성(Usabilily)보다 확장된 개념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컨텐츠 플래닝에 활용하기 위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 웹 사이트에서의 사용자 경험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경험적 정황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웹사이트 경험의 정황적 요소에 대해 체계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사이트 사용에 관련된 정황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경험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매핑함으로써 새로운 웹 컨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대상을 인터넷 음악 방송 사이트 또는 음악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험과 이를 둘러싼 경험적 정황으로 정하였으며, 경험적 정황에 대한 이해가 인터넷 음악 방송 사이트와 관련된 컨텐츠 플래닝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논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웹 사용의 경험과 경험에 영향을 주는 정황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정의 내리고 체계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둘째, 사용자 경험 탐색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 웹 다이어리 작성, self-video를 통한 사용 화면 기록, 인터뷰 등을 통해 실증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정황을 포함한 사용 경험 및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경험적 정황의 요소를 추출하고 매핑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결론에서는 경험적 정황을 포함하는 실증적 사용 시나리오가 웹 컨텐츠 플래닝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는 웹에서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관점을 정황적 요소로까지 확장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매핑하는 실증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웹에서의 혁신적이며 크로스 사이트, 크로스 장르적인 컨텐츠 플래닝의 가능성을 시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User experience in web site is beyond Usability, and should be understood in a context. However, the concrete contextual factors of web site experience is not systematically established enough.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framework of mapping experiential context factors with analyzing real web site use cases, and to propose how it is can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web site contents planning. First of al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web experience and contextual factors was prepared by secondary research. Second, user experience on music casting sites was collected through web diary method, self-video recording method, and group interview. Then, collected experience was re-constructed with scenarios. Scenarios are analyzed into contextual factors and these factors are categorized, given hierarchies and located into context map. Thir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ntext map of web site experience was discussed. The systematical and concrete sample of context map based on practical use cases can be applied in the innovative and cross-genre web contents planning proc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