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f Statistical Methods in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th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대한치과교정학회지(KJO)와 미국교정학회지(AJODO)에서 사용된 통계기법의 비교분석 및 고찰(1999-2003)

  • Lim, Hoi-Jeong (Institute of Radiation Effect & Epidem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회정 (서울대학교 원자력영향역학연구소)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types of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KJO) and the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 from )999 to 2003. The frequency of use, transitions, assumption check of statistical methods and types of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were examined from each journal. The study consisted of 247 articles published in the KJO and randomly chosen 50 articles per year which were original articles and used statistical method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is, nonparametric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were the order of statistical method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KJO, while t-test. ANOVA, nonparametr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were the order of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AJODO The changes of statistical methods observed in the KJO were not significant $(X^2=17.4\;p=0.5881)$ but the changes observed in the AJODO was seen to be significant $(x^2=42.4,\;p=0.0397)$ Some of the studies examined had overlooked the assumptions of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Data investigation such as outlier should be performed before analysis and alternative statistical approaches are applied for a small sample size. Types of advanced statistical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in the KJO and Intention-To-Treat (ITT) analysis in clinical trials through multi-center, survival analysis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in the AJODO. Appropriate analysis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should be applied for the correlated and repeated measurements of the orthodontic data set.

본 연구는 1999-2003년 사이에 출판된 대한치과교정학회지(KJO)의 논문 247편과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AJODO)의 논문 250편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계기법들을 연도별로 조사 비교하였다. 각각의 저널에서 어떠한 통계기법들이 자주 사용되었는지, 최근 들어 통계기법의 변화가 있었는지 자주 쓰이는 통계기법들에 대한 주의할 점을 고려했는지 어떠한 고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KJO는 이 기간 동안의 모든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AJODO는 각 해마다 50편의 논문을 original article이면서 통계기법을 사용한 논문들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빈번히 사용된 통계기법은 KJO의 논문에서는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비모수분석, 회귀분석, $x^2-$검정. 요인 분석의 순이었고 AJODO의 논문에서는 t-검정. 분산분석. 비모수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x^2$-검정, 요인분석의 순이었다. 5년 동안의 통계기법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KJO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x^2=17.38,\;p = 0.6881)$ AJODO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x^2=42.41,\;p =0.0397)$ 각 통계분석에 해당하는 가정의 점검을 간과한 경우가 있었으며 통계분석 전에 이상치 등의 자료의 탐색이 필요하며 소표본일 경우 좀 더 다른 통계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고급통계기법으로는 KJO에서는 인자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부정교합자에게 적용이 가능한 골격유형의 감별기준을 도출하였고 AJODO에서는 다기관센터를 통한 임상시험에서 ITT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생존분석 죈 GEE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순한 통계기법만으로는 정확한 자료의 분석이 행해졌다고 보기는 어렵고 자료와 가설에 맞는 단변수 분석후의 다변량 통계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결론을 유추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학 분야의 자료의 특성 중 하나는 서로 상관관계가 높으며 반복 측정치를 가지는 것인데, 올바른 통계기법을 도입하여 그 결과에 대한 바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옥, 엄용환.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통계기법 사용에 관한 연구. 유아 교육연구 2002;2:115-24
  2. 이신동, 이혜원.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에서 사용된 통계기법
  3. 권경득. 한국 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행정학보 기교논문 (1967-1995)을 중심으로, 한국행벙학보 1996;30:139-53
  4. 박명희, 이재준. 한안지 논문에 사용된 통계방법에 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2003;44:738-43
  5. 김태일. 행정학 분야 논문에 사용된 통계기법들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1997;31:3019-35
  6. Schor S, Karten I. Statistical Evaluation of Medical Journal Manu-scripts. JAMA 1966;195:1123-8 https://doi.org/10.1001/jama.195.13.1123
  7. 김지영, 김태우, 남동석, 장영일. 정상교합자의 골격변이의 분류. 대치교정지 2003;33:141-50
  8. 김지영, 김태우, 남동석, 장영일. 골격형에 따른 치아치조성 보상기전의 분석 및 골격형 판별. 대치교정지 2003;33: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