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Phone Uses and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of Teen-Agers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행태와 사회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부산.울산 지역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11.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bile phone service usage patterns of Korean teenagers and their motivation to use i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enager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trails of mobile phone usage. After reviewing prior theoretical studios, three hypotheses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s shown above were generated.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with 400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s. They were to answer three categories of questions, such as frequencies of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and the other mobile services, questions asking their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otivations for using mobile phone services. Findings show that the teenagers more likely to tend to use voice calls when communicating family members. They tend to avoid those services with high rate of use as multimedia, game, and broadcasting services via mobile phones. The teenagers use mobile phone services for the similar purposes to conventional telephone uses. Therefore, the classical theories showing the alternative purposes or motivations to use conventional telephone usage, which divided the main purposes for phone uses in to two; work/instrumental and socializing/entertaining, proved to be reasonable. The cheap messaging services with texts are popular among the teenagers and are used for socializing/entertaining purposes rather than instrumental/functional purposes. In addition, the teenagers' soci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mobile phone uses. A characteristic of "individual-centeredness" is positively related with non-voice service uses, while "group-centeredness" explains heavy amount of using voice calls and text messaging services. Such characteristics as "immediacy," "directness," "innovativeness," and "other-direc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requencies and amounts of mobile phone uses, while "inner-direction" and "tradition-direc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본 연구의 연구목적으로는 국내 이동전화 서비스의 최대 이용자들인 10대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동기와 이용량 등의 이용행태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서 사회심리적 특성들의 역할과 이용행태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가설을 세 가지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설문조사를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는데, 주요 설문내용은 첫째, 이동전화의 음성통화와 문자 서비스의 빈도와 대상 및 기타 부가서비스의 이용 관련 설문과, 둘째, 8개 차원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묻는 질문, 그리고 셋째는, 이용동기를 일반적 통화와 문자메시지 이용 부분으로 구분하여 충족의 유형별로 3-4개씩 구성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문자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나 가족들에게는 음성통화를 더 빈번히 하는데, 부모들의 연령대에서 문자메시지보다 음성통화에 더 익숙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친구들간에는 문자메시지 이용이 지배적인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 양식이다. 둘째, 금전적 부담이 가는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용을 회피 또는 자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셋째, 문자서비스를 도구적 목적보다는 사교/오락적인 목적에 더 비중을 두고 이용하며, 전화의 이용동기의 양대축을 이론적으로 형성해 온 "업무/도구적 이용"과 "사회성(사교)/오락성 추구"는 청소년들이 이동전화를 통한 음성통화를 하게 되는 동기로서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이동전화 이용빈도의 관계는, "개인중심성"이 부가서비스 이용빈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집단중심성"은 음성통화와 문자서비tm 이용빈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즉시성", "직접성", "혁신성", "타인지향형" 등의 특성은 이동전화 이용과 정적 상관관계 나타내는 반면 "내적지향형"과 "전통지향형" 성격은 부적 관계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에 있어서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의 다양화와 일반화된 기능적 도구로서의 인식이 주목할 만하다. 문자메시지 이용은 음성통화를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고 그 동기의 강도가 더 높으므로 기능적 우월성까지도 전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전화와 이동전화 음성통화의 이용동기 간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가운데 도구적 이용과 인간적/정서적 이용의 동기가 이동전화의 타 미디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