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of Estimating Dur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for the High-rise Apartment Housing during the Winter season -Focusing on One Cycle Time Scheduling Mechanism of the Typical Floor-

동절기 아파트 골조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에 관한 연구 - 기준층 사이클 공정분석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bl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strictly followed a rule that they should not work in the wet area such as structural frame for a certain period during the winter season. It is usually known that the non-working period during the winter causes increase of the project duration, and the project cost escalation. Also, it makes negative effects on national economy because it reduces workers income. Therefore, the site work for the structural frame should be performed even during the whiter season. But the site work for the structural frame during that period cannot proceeds in the same way as during other periods, and requires a different method for estimating project dur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ime scheduling mechanism, actual working days are obtained for 1 cycle of typical floors in the structural frame during these periods, and non-working days of 5 years average are calculated based on calendar day using data of 5 years weather forecasts for that season. This study proposes an optimized way of estimating project duration for 1 cycle of typical floors in the structural frame during these periods. This estimating method uses the combined actual working days and non-working days of 5 years' average, and the estimated results are confirmed by being compared with field dat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estim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during the winter season.

공공 발주기관의 동절기 공사불능기간의 운영은 공사기간을 길게 하고, 건설사업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건설인력의 활용을 어렵게 하여 근로소득을 감소시킴으로써 국가 경제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골조공사는 동절기에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절기 골조공사는 평상계절과 동일한 속도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공기산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메커니즘 분석을 통하여 동절기 골조 기준층 1사이클의 실작업일수를 구하고, 5년간의 달력 및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동절기 5년 평균 비작업일수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실작업일수와 비작업일수를 통합하여 동절기 골조 기준층 1사이클의 적정 공기를 제안하고, 이를 실적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동절기 골조공사의 공기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충희, 아파트 골조공사의 공기단축 및 효과적 공정운영방안, 2004.8, 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저14호(통권 제20호)
  2. 대한주택공사, 건설공사의 적정 표준공사기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1998, 12
  3. 진영섭, 아파트 공사기간 산정에 영향을 주는 작업불가능 기준에 관한 연구, 1998.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18권 제1호
  4. 정인환, 아파트 공사의 주요 공종별 공정 및 생산성 분석, 1995.4,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권 4호 통권 78호
  5. 이준호, 거푸집 작업조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주택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공정계획방법, 1996.4,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권 4호 통권 90호
  6. 신종현,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적정 공사계획 시스템, 2003. 1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19권 11호 통권181호
  7. ACI Committee 209,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