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치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우치(牛齒) 미백 효과에 대한 분석

  • Sim, Geon-Bo;Kim, Yong-Hui;Park, Chan-Yeong;Kim, Jeong-Mo;Yun, Hyeon-Sik;Lee, Dong-Hyeon;Jeong, Ju-Eun;Park, Dae-Hun;No, Seok-Ho;Eom, Hwan-Seop;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41-541
    • /
    • 2013
  •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는 치아미백은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와 carbamide peroxide가 함유된 미백제를 이용하여 전문성을 가진 의사가 직접 시술을 하고 있다 [1].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미백효과가 높지만 [2]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인체에 유해하다 [3,4]. 따라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미백제의 사용은 전문가만 시술할 수 있도록 이를 제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다양한 미백제품들은 저농도(최대6%)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만 치아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 우리는 가정에서도 보다 안전하고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치아의 미백효과를 보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규제하고 있는, carbamide peroxide (15%)와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제트의 유량은 200 sccm이며, 공기를 사용하였다. 미백효과를 보기 위한 대상으로는 우치(牛齒)를 사용하였으며,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조시료군으로는 carbamide peroxide (15%)를 처리하지 않은 우치와 처리한 우치, 그리고 carbamide peroxide (15%)를 처리한 우치에 수증기(0.2~1%)를 첨가한 다음, 이들 세가지 시료에 각각 공기 플라즈마를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모든 실험의 플라즈마 처리시간은 최대 20분까지로 하였다. 수증기를 첨가한 이유는 활성산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이로써 탁월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활성산소와 치아의 유기질이 반응하여, 색이 진한 탄소고리 화합물을 밝은 색의 사슬구조로 바꿔주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하여 우치에 carbamide peroxide (15%)와 수증기(0.2~1%)를 처리한 경우 플라즈마의 미백효과가 탁월함을 보였다. 이때 CIE색좌표 ($L^*a^*b^*$)에서 명도도가 최대 2배 이상 높아짐을 보았다. 미백효과에 대한 측정은 측색분광기(CM-3500d)를 이용하였다.

  • PDF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우치 미백효과

  • Sim, Geon-Bo;Kim, Yong-Hui;Park, Dae-Hun;Gwon, Jae-Seong;Choe, Hye-Suk;Lee, Chae-Bok;Eom, Hwan-Seop;Kim, Gyeong-Nam;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75-175
    • /
    • 2013
  • 현재 치과에서 상용되는 치아미백법은 과산화수소와 레이저를 사용하여 의사가 직접 치료를 하고 있다 [1]. 단기간에 높은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암 또는 심장병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수 있음으로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3,4]. 우리는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규제하고 있는,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를 사용하였다. 카마바이드 퍼옥사이드(15%), 수증기,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기체 유량은 1,000 sccm 이며, 공기와 질소를 사용하였다. 미백효과를 보기 위한 대상으로는 우치(牛齒)를 사용하였으며,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조시료군으로는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와 수증기(0.4%)를 첨가한 다음, 공기 플라즈마와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수증기를 첨가한 이유는 활성산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탁월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우치에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와 수증기(0.4%)를 처리한 경우 플라즈마의 미백효과가 탁월함을 보였다. 이때 CIE색좌표 ($L^*a^*b^*$)에서 명도도가 높아짐을 보았다. 미백효과에 대한 측정은 측색분광기(cm-3500d)를 이용하였다. 라만은 빛이 어떤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빛의 일부는 진행방향에서 이탈해 다른방향으로지행하는 현상을 산란이라고 한다. 이를 이용하여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라만산란이라고 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같은 우치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 전 후를 라만을 통해 측정하였다.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ROS는 미백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모든 실험의 플라즈마 처리시간은 최대 20분까지로 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RATE OF DENTAL ENAMEL DEMINERALIZATION USING A QL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 Lee, Chang-Keun;Yoo, Seung-Hoon;Kim,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3
    • /
    • pp.506-515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te of in vitro demineralization of bovine permanent (BP), human deciduous (HD) and human permanent (HP) enamel. Twenty aye flattened and polished enamel samples for each group (BP, HD, HP) were immersed in a demineralizing solution (0.1 mol/L lactic acid, 0.2% Carbopol 907, and 50% saturated hydroxyapatite) for 1, 2, 4 or 8 days. All 25 samples from each group were subjected to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analysis (QLF) and 5 samples from each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for Transverse Microradiography analysis (TMR). Integrated mineral loss (IML) and lesion depth (LD) were determined by TMR. The fluorescence radiance (FR) of sound enamel $(FR_S)$, demineralized enamel $(FR_D)$ were determined by QLF and FR ratio $(FR_D/FR_S)$ was calculated. Bovine enamel samp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and deciduous enamel samples does no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Permanent enamel samp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The constant of demineralization time between FR ratio from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bovine enamel was -4.643(p<0.05) deciduous enamel was -5.421(p<0.05) and permanent enamel was -4.435(p<0.05).

  • PDF

Salt damage resistance of mortar substrate coated by the urethane and acrylic waterproofing membranes (우레탄계와 아크릴계 도막 방수재가 도포된 바탕 모르타르의 염해 저항성 평가)

  • Lee, Jun;Miyauchi, Hiroyuki;Koo, Kyung-Mo;Choe, Gyeong-Cheol;Miyauchi, Kaori;Kim, Gy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29-331
    • /
    • 2013
  • The salt damage resistance of waterproofing membrane was evaluated on the cracked mortar substrate. The types of specimens are urethane, acrylic waterproofing membrane, and no coating mortar substrate. After these specimens were cured by water curing for 4 weeks, they were cured by atmospheric curing at 20±2Co for 8 weeks. The salt water immersion test was carried out by following KS F 2737, and the penetration depth of chloride ion into substrate was measured in 1, 4, 8, and 13 weeks. As a result, in the case of non coating specimen, the chloride ion penetrated within one week. In the coated specimens, a regardless of the membrane type, the chloride ion did not penetrate during 13 weeks-tests on condition that the cracked width of substrate is less than 0.3mm. Also, the penetration speeds of the coated specimens were lower than that of non coating specimen. Therefore, our results reached a conclusion that waterproofing membrane has high salt damage resistance.

  • PDF

Tensile Properties of One-component Silicon Sealants by Heat Deterioration (1성분형 실리콘계 실리콘의 열 열화에 대한 인장 성능 평가)

  • Lee, Jun;Miyauchi, Hiroyuki;Koo, Kyung-Mo;Choe, Gyeong-Cheol;Yoon, Min-Ho;Miyauchi, Kao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11a
    • /
    • pp.173-174
    • /
    • 2013
  • In this study, the tensile properties of sealants by heat deterioration were measured and analysed to gather the basic data of sealant because these studies do not have been investigated in Korea. Most general one-component silicone sealants were used and test specimen was I-type. The test parameters are sealant types which have different density and heat deterioration time in 80℃. As a result, the rat of reduction in area by heat deterioration was considerable increased at SR-A compared with SR-B. The tensile properties by heat deterioration decreased at SR-A because the specimen by deterioration occurred adhesive failure before tensile test. However, SR-B specimen was increased at maximum tensile stress but decreased at elongation in maximum tensile stress. Also, Maximum principal stress was measured at the edge of specimen by FEM simulation in order to find out failure poi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