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in Officials of Health Centers

보건소 공무원의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참여실태 및 태도

  • Jeong, Han-Ho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Chang-Hy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한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감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한창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ttitude and participation status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officials in Health Centers. Methods: The data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f 674 officials of Health Centers and the data on district health planning of 28 Health Centers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Results: Only 13.6%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sponded that they had read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oroughly and 12.5%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replied that they had known contents of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fully. 56.9% of officials of Health Centers didn't have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Thirty five point four percent(35.4%)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ayor's or county executive'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22.4% in councilors, 77.8% in Health Center chiefs, 44.9% in Health Center officials, 43.9% in him or her. Among respondents, 58.6% of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necessary and 38.0% of subjects replied tha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high. About thirty seven percent(36.9%)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making out 'the secon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and 49.6% in 'the third district health planning paper'. Health Center officials repli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lack of budget and personnels'(39.8%), 'lack of concern for district health planning'(21.4%)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district health planning was 'establishing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djustment of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Conclusion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health planning,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budget and personnels, to promote the county executive's concern and Health Center officials' concern about the district health planning, to establish department for health planning, and to adjust establishment time for district health planning.

광역시의 7개 구 보건소(180명), 광역도의 9개 시 보건소(262명), 광역도의 12개 군 보건소(232명) 등 28개 보건소의 공무원 674명을 대상으로 2002년 9월에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이들 보건소의 보건소장 또는 보건사업과장에게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과 계획서에 따른 업무추진 내용,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 작성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을 구체적으로 끝까지 읽어본 공무원은 13.6%에 불과하였고,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비율도 12.5%에 불과하였다. 대상공무원의 5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2002년도 계획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공무원은 63.5%였다. 응답자의 35.4%가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22.4%는 지방의회의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보건소장의 관심이 높다고 응답한 공무원은 77.8%였으며, 44.9%는 보건소내 타 공무원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고, 43.9%가 본인의 관심이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58.6%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44.8%가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업무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38.0%가 활용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36.9%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고, 49.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15.7%가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작성을 위한 교육에 참여하였고, 23.6%가 제3기 지역보건의료 계획 작성교육에 참여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인력 및 예산부족(39.8%), 직원의 인식부족(21.4%) 순이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을 보건소 업무의 추진현황과 추진계획이라고 하였다. 전체 보건소의 14.3%만이 제2기 지역보건의료계획에 따라 인력확충 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고, 28.6%가 조직개편계획을 실행하였다고 하였으며, 25.0%가 자체평가를 하였다고 하였다. 지역보건의료계획 목표설정시 내부의견 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경우가 제2기 계획때는 42.9%였으나 제3기 때는 17.9%로 줄어들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서식이 많고 복잡함', '직원의 전문지식 부족', '직원과 기관장의 관심부족' 순이었고, 개선방안으로는 '기획전담부서 확보', '계획수립시기 조정', '의회의결폐지', '직원교육확대', '서식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인력 및 예산확보, 기관장과 직원의 관심도 제고, 보건소 실정에 맞는 지침정비,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제출시기 조정 등의 법규정비, 직원교육 등을 확대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역보건 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