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시행한 초기 뇌파 검사의 임상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Severely Asphyxiated Newborn Infants

  • 이종욱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원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천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상락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준식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Jong Uk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i, Won J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Chun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Sang Lak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un Sik (Department of Pediatrics,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03.03.28
  • 심사 : 2003.06.05
  • 발행 : 2003.08.15

초록

목 적 : 주산기 가사 환아는 뇌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경과와 예후를 나타낸다. 이에 초기 뇌파의 소견이 저산소성 뇌증 환아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과 신생아 중환자실에 1분 Apgar 점수 3점이하의 중증 주산기 가사소견으로 입원했던 만삭아를 생후 3일 이내에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 소견으로 미세 변화군(정상, 국소성 극파 혹은 서파)과 전반적 이상군(다형성 극파, 돌발-억제파(burst-suppression), 전반적 저전위파)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 입원시 혈액 검사소견(암모니아, 요산, 젖산, pH), 임상소견(입원기간, 산전 모성 위험인자 유무, 경련유무 및 지속기간, 기계적 환기 필요여부, 경구수유 시작시기), 예후(사망 혹은 발달장애 유무) 등을 비교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총 25명 중 미세 변화군은 15명, 전반적 이상군은 10명이었으며 양군 모두 외부 출생아가 70% 이상으로 많았다. 두 군간 성별, 평균 재태 기간,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세 변화군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에서 산전 모성 위험인자 내재(20.0% vs 60.0%), 평균 경련 지속기간(1.5일 vs 5.5일),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20.0% vs 60.0%) 및 경구수유 시작시기(3.2일 vs 9.9일)가 의미있게 늦었으나 경련 동반율(66.7% vs 10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 혹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나쁜 예후로의 진행은 미세 변화군 중 13.3%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 중 60.0%로 의의있게 많았다(P<0.05). 결 론 : 주산기 가사에 노출된 환아들의 초기 뇌파검사 소견에서 다형성 극파나 돌발-억제파, 전반적 저전위파 등의 전반적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임상 경과와 예후를 보여서, 주산기 가사 환아들의 예후를 예견하는데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Perinatal asphyxia occurring in newborn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acute mortality and chronic neurological disability in survivors. We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electroencephalography(EEG)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and neurologic outcome in severe asphyxiated neonates. Methods : Between the period of July 1999 and June 2002, 25 neonates who were diagnosed with severe perinatal asphyxia(1-minute Apgar score of ${\leq}3$ and initial pH is less than 7.2) at NICU in Dongsan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An EEG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in three days of lif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1(normal or focal change on EEG) and group 2(generalized abnormal EEG).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courses and neurologic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 Fifteen infants(60%) were group 1 and ten infants(40%) were group 2(polyspikes, burst-suppression, generalized low voltage). Associated maternal disease, days of hospitalization, need for ventilator support, delay of oral feeding and convulsion dur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nger in group 2. Also, poor neurologic outcome(expire, developmental del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60%) than group 1(13.3%). Conclusion : Thus, the early neonatal EEG in asphyxiated newborn can be a predictable diagnostic tool in assessment of neurologic outco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