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vere perinatal asphyxi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Predictive factors of death in neonates with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receiving selective head cooling

  • Basiri, Behnaz;Sabzehei, Mohammadkazem;Sabahi, Mohammadmahd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4호
    • /
    • pp.180-187
    • /
    • 2021
  • Background: Severe perinatal asphyxia results in multiple organ involvement, neonate hospitalization, and eventual death.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death in newborns with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receiving selective head cooling.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2013 to 2018 in Fatemieh Hospital of Hamadan and included 51 newborn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ith a diagnosis of HIE. Selective head cooling for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HIE began within 6 hours of birth and continued for 72 hours. The required data for the predictive factors of death were extracted from the patients' medical files, recorded on a premade form, and analyzed using SPSS ver. 16. Results: Of the 51 neonates with moderate to severe HIE who were treated with selective head cooling, 16 (31%) die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ath and the need for advanced neonatal resuscitation (P=0.002),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P=0.016), 1-minute Apgar score (P=0.040), and severely abnormal amplitude-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y (a-EEG) (P=0.047). Multiple regression of variables or data showed that the need for advanced neonatal resuscitation was a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death (P=0.0075) and severely abnormal a-EEG was a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asphyxia severity (P=0.0001). Conclusion: All cases of neonatal death in our study were severe HIE (stage 3). Advanced neonatal resuscitation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death, while a severely abnormal a-EEG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sphyxia severity in infants with HIE.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뇌실주위백질연화증과 중증뇌실출혈의 발생과 인공호흡기 치료와의 상관관계 (Development of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and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Very Low Birth Weight Newborns and Relationship with Ventilator Care (Study of Ventilator Care as a Risk Factor of PVL and PV-IVH))

  • 이학성;이세규;김영진;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30-1336
    • /
    • 2005
  • 목 적 : 최근 체계적인 산전 관리 및 다양한 인공호흡기 치료를 비롯한 신생아집중치료술의 발전은 극소저출생체중아 생존율의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의 허혈성, 저산소성손상의 주된 병변인 뇌실주위백질연화증 및 중증뇌실출혈의 발생 위험성은 여전히 크다. 두 질환에 있어 여러 가지 산전, 산후 위험요소와 더불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인공호흡기 치료는 뇌혈류의 변화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인공호흡기 치료가 두 질환의 발생에 있어 위험인자로서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5년간 대구파티마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1개월 이상 입원 치료를 받았던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뇌실주위백질연화증 환아 15명 및 중증뇌실출혈 환아 8명, 총 23명을 연구군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255명 중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던 환아는 139명이었다. 모든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산전 및 산후 병력 및 임상적 특성, 인공호흡기 치료 중 경과를 분석하였고, 뇌초음파검사 결과를 토대로 선별하였다. 결 과 : 전체 255례 중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은 16례, 중증뇌실출혈은 8례였고,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는 더 높았다. 전체 대상 중 인공호흡기 치료병력이 있었던 환아가 139례였고 그 중 15례에서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이, 8례에서 중증뇌실출혈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인공호흡기 치료병력이 없었던 나머지 124례에서는 뇌실주위백질연화증 1례만이 발생하였다. 병력지를 기초로 한 후향적 조사에서 뇌실주위백질연화증과 연관되는 위험인자로서 유의할만한 것은 출생 시 가사(Apgar 점수<5), 무호흡, 인공호흡기 치료병력, 패혈증 및 산혈증이 있었고, 중증뇌실출혈의 경우는 출생 시 가사, 무호흡, 인공호흡기 치료병력, 호흡곤란증후군 및 산혈증이 유의할만 하였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던 139례 중 두 질환군의 경우 이환되지 않았던 환아들에 비해 출생 당시 가사, 산혈증 및 무호흡의 병력이 더 많았고, 인공호흡기 치료 시 고농도의 흡입산소가 필요했던 경우와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도 많았다. 결 론 :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인공호흡기 치료가 중증뇌실출혈과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만 당시 인공호흡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선행 위험인자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최근의 인공호흡기 치료기법의 발전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치료 자체가 중증뇌실출혈과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생각되어지지는 않으며 인공호흡기 치료가 요구되어지는 선행질환의 중증도가 더 직접적인 위험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인공호흡기 치료와 더불어 보다 전문적인 산전 관리가 뇌실주위백질연화증 및 중증뇌실출혈의 발생빈도를 줄이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중증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시행한 초기 뇌파 검사의 임상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Severely Asphyxiated Newborn Infants)

  • 이종욱;최원정;김천수;이상락;김준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84-788
    • /
    • 2003
  • 목 적 : 주산기 가사 환아는 뇌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경과와 예후를 나타낸다. 이에 초기 뇌파의 소견이 저산소성 뇌증 환아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과 신생아 중환자실에 1분 Apgar 점수 3점이하의 중증 주산기 가사소견으로 입원했던 만삭아를 생후 3일 이내에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 소견으로 미세 변화군(정상, 국소성 극파 혹은 서파)과 전반적 이상군(다형성 극파, 돌발-억제파(burst-suppression), 전반적 저전위파)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 입원시 혈액 검사소견(암모니아, 요산, 젖산, pH), 임상소견(입원기간, 산전 모성 위험인자 유무, 경련유무 및 지속기간, 기계적 환기 필요여부, 경구수유 시작시기), 예후(사망 혹은 발달장애 유무) 등을 비교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총 25명 중 미세 변화군은 15명, 전반적 이상군은 10명이었으며 양군 모두 외부 출생아가 70% 이상으로 많았다. 두 군간 성별, 평균 재태 기간,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세 변화군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에서 산전 모성 위험인자 내재(20.0% vs 60.0%), 평균 경련 지속기간(1.5일 vs 5.5일),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20.0% vs 60.0%) 및 경구수유 시작시기(3.2일 vs 9.9일)가 의미있게 늦었으나 경련 동반율(66.7% vs 10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 혹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나쁜 예후로의 진행은 미세 변화군 중 13.3%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 중 60.0%로 의의있게 많았다(P<0.05). 결 론 : 주산기 가사에 노출된 환아들의 초기 뇌파검사 소견에서 다형성 극파나 돌발-억제파, 전반적 저전위파 등의 전반적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임상 경과와 예후를 보여서, 주산기 가사 환아들의 예후를 예견하는데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Evaluation of the role of ischemia modified albumin in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 Talat, Mohamed A.;Saleh, Rabab M.;Shehab, Mohammed M.;Khalifa, Naglaa A.;Sakr, Maha Mahmoud Hamed;Elmesalamy, Walaa M.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8호
    • /
    • pp.329-334
    • /
    • 2020
  • Background: Birth asphyxia is a leading cause of neonatal mortality.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levels may have a predictive role in the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of hypoxic disorders, as they increase in cases of ischemia of the liver, heart, brain, bowel, and kidne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alue of IMA levels as a diagnostic marker for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Methods: Sixty newborns who fulfilled 3 or more of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riteria and developed HIE as defined by Levene staging were included in our study as the asphyxia group. Neonate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 systemic infec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low-birth weight, cardiac or hemolytic disease, family history of neurological diseases, congenital or perinatal infections, preeclampsia, diabetes, and renal diseas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Sixty healthy neonates matched for gestational age and with no maternal history of illness, established respiration at birth, and an Apgar score ≥7 at 1 and 5 minutes were included as the control group. IMA was determined by double-antibod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f a cord blood sample collected within 30 minutes after birth. Results: Cord blood IMA levels were higher in asphyxiated newborns than in controls (250.83±36.07 pmol/mL vs. 120.24±38.9 pmol/mL). Comparison of IMA levels by HIE stage reveal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207.3±26.65, 259.28±11.68, 294.99±4.41 pmol/mL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respectively). At a cutoff of 197.6 pmol/mL, the sensitivity was 84.5%, specificity was 86%,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2.8%,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8.3%, and area under the curve was 0.963 (P<0.001). Conclusion: IMA levels can be a reliable marker for the early diagnosis of neonatal HIE and can be a predictor of injury seve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