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 뇌수막염에서 뇌척수액 Latex 응집 추적검사의 유용성

Prognostic Value of Repeated Cerebrospinal Latex Agglutination Testing in Bacterial Meningitis

  • 이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안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혜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승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Soo J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So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Su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ae Soo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eung Joo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2.12.16
  • 심사 : 2003.02.10
  • 발행 : 2003.04.15

초록

목 적 : 세균성 뇌수막염은 높은 사망률과 후유증을 가져오는 심각한 소아에서의 감염성 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뇌척수액 latex 응집검사의 진단적 가치 외에도 추적검사에서 예후 예측 인자로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세균성 뇌수막염으로 진단받고 이화의대 목동병원에서 입원치료 받았던 25명의 환아들중 뇌척수액 세균배양검사와 latex 응집검사가 모두 양성이었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에서 임상증상, 뇌척수액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뇌척수액 추적검사는 항생제 치료 후 3, 7, 14, 21일 그리고 28일에 시행하였고, 3일째 음성이 된 환아들을 I군으로, 3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양성으로 남아있는 환아들을 II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 환아 19명의 평균 나이는 $10.6{\pm}12.3$개월(2-33개월)이었고, 원인균으로는 H. influenzae type b 11명(57.9%), Group B Streptococcus 4명(21.1%), S. pneumoniae 3명(15.7%), 그리고 E. coli 1명(5.3%)이였다. I군은 10명(52.6%), II군은 9명(47.4%)이였다. 뇌척수액 추적검사에서 세균배양검사는 3일째 모두 음성화되었고, latex 응집 추적검사는 3일째 9명(47.4%)에서 양성이었고, 7일째 31.6%, 14일째 26.3%, 21일째 10.5%에서 양성이었고, 28일째에 모두 음성이 되었다. I군에서는 2명(20.0%)에서 경막하삼출 소견을 보였다. II군에서는 9명(100.0%) 모두에서 경막하 삼출을 보였고, 이 중에서 44.4%에서 뇌수종 또는 뇌연화 소견을 보였다. 신경학적 후유증은 II군에서 감각신경성난청 1명, 경련성 질환 1명 그리고 우측반신마비 1명이 발생했고, I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 세균성 뇌수막염 치료 시 뇌척수액 latex 응집 추적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치료 초기에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였다.

Purpose : Bacterial meningitis is a serious infection of childhood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Repeated cerebrospinal fluid(CSF) examination is a useful prognostic indicator and a delayed sterilizatio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of neurologic abnormalit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 of repeated CSF latex agglutination testing.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19 patients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or bacterial meningitis from January 1997 to June 2002. Bacterial meningitis was confirmed by a positive CSF culture and a positive CSF latex agglutination test. Repeated CSF examinations were done at three, seven, 14, 21 and 28 days after antibiotics therapy. Neuroradiologic studie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mean age was $10.6{\pm}12.3months$(range; two to 33 month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8 : 1. The causative organisms were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57.9%, Group B Streptococcus 21.1%, Streptococcus pneumoniae 15.7% and Escherichia coli 5.3%. Three days after the initiation of antibiotics therapy, repeated CSF latex agglutination tests persisted as positive in nine (47.4%) out of 19 cases, but all CSF cultures became negative. In those cases with negative latex agglutination tests three days after antibiotics therapy, neuroradiologic findings were completely normal. But, in cases with positive latex agglutination tests three days after antibiotics therapy, neuroradiologic abnormalitie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encephalomalasia occurred in 44.4%. Conclusion : Repeated CSF latex agglutination testing was valuable as a prognostic factor in bacterial meningitis. Neuroradiologic abnormalities may occur in cases with delayed clearance of CSF latex agglutination tests more often than in cases with negative latex agglutination tests three days after antibiotics therap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