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에서의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고찰

A Clinical and Radiologic Study of Acute Focal Bacterial Nephritis in Children

  • 송금호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허권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옥연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심재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도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덕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민기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유기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관섭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 Song, Kum 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Huh, Kwon Ho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Cho, Ok 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Sim, Jae 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Cho, Do J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Dug H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Min, Ki Si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Yoo, Ki Y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Kwan Seop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투고 : 2002.11.13
  • 심사 : 2003.02.10
  • 발행 : 2003.04.15

초록

목 적 : 최근 진단이 증가하고 있는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신장염의 범주 중에서도 진행된 형태의 것으로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는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이 가지는 임상적 양상을 방사선학적으로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 비교하고, 방사선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 요 배양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인 요로 감염 환아들 중 초음파와 DMSA상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의 진단 기준에 맞는 생후 1개월에서 12개월 이하의 환아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환아들과 동일한 시기에 요로 감염으로 입원하여 실시한 요 배양검사가 양성이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이상이 없는 환아 중 연령의 분포와 성별이 같은 22명으로 하여, 이들의 증상 및 임상적 검사소견, 방사선학적 특징을 분류하였다. 결 과 : 1)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주로 1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연령 대에서 호발하였으며 환자군에서 남아의 비율이 63.7%로 여아보다 높았다. 2)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과 일반적인 요로 감염 환자군간의 임상적 증상은 차이가 없었으나 입원 치료 기간은 환자군에서 더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3)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 환자군의 경우 대조군보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RP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요 배양 검사상 원인균의 비율은 양군에서 모두 대장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방사선학적 검사상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초음파상 주로 증가된 반향을 보이고 병변 부위의 혈류량은 감소되어 있었고 쐐기 모양 또는 구형 모양의 종괴 양상을 보이며, 병변의 위치는 주로 신장의 상엽, 좌측 신장, 편측성 발생을 보였다. 6) DMSA상 보인 신 피질 섭취의 결손상은 초음파상에 보였던 병변과 일치하였으며 초음파보다 초기 병변의 발견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7) 환자군에서 재발은 3례에서 보였으며, 16례의 추적 검사상 13례에서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였고, 신 농양이나 염증의 파급 소견은 없어 항생제의 치료만으로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 임상적 양상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워 방사선학적 진단이 꼭 필요한 반면, 염증의 정도가 다르고 임상적 검사소견과 필요한 치료기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므로 일반적인 요로 감염으로 입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비뇨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이를 가려내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Purpose : To raise awareness of the clinical importance of, and the need for proper management of acute focal bacterial nephritis(AFBN), we analyzed 22 AFBN patients and 22 other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patients by use of comparative studies.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May 2002, 22 AFBN patients aged from 1 month to 12 month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22 UTI patients with no radiologic abnormalities were selected and matched by age and sex. Results : The incidence of AFBN was more common in boys than in girls. Since both groups had similar symptoms, it was difficult to diagnose AFBN by clinical presentations alone. ESR and C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FBN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was E. coli in both groups. On the sonographic findings, the most lesions were seen on the upper lobe of the kidney; more frequently, on left kidney. The lesions showed globular or wedge-shaped increased echogenecity. $^{99m}Tc-DMSA$ scan showed the complete coincidence of the location, size and shape in all cases compared to the findings of renal sonography. Conclusion : The roles of renal sonography and DMSA scan were very important, and ultrasonography was an excellent initial tool in diagnosing AFBN. Since the degree of infection in AFBN is more severe than other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evollution into a renal abscess is possible,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antibiotics therapy is essenti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