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간 임금격차의 경기변동상 변화 패턴과 분단노동시장 가설

Cyclicality of Inter-Industry Wage Gaps and Segmented Labor Market Hypotheses

  • 신동균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 발행 : 2003.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와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표본으로부터 구축된 특별한 형태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동시장이 과연 분단되어 있는가를 검증한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이 사용하여 왔던 조사 시점에서 추출된 임금률은 장기근속자들을 선택하는 성향으로 말미암아 경기역행적인 방향으로 편의를 보이고 있으며, 이 경기역행적 선택성(countercyclical selectivity)은 저임금 산업보다는 고임금 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선택성 문제를 통제하고 추정한 결과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실질임금은 저임금 산업보다 고임금 산업에서 훨씬 더 경기순응적(procyclical)으로 움직임이 밝혀진다. 현 연구 결과는 실질임금이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있어서 훨씬 더 경기순응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그것은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은 내구재 제조업, 건설업 등 경기순응성이 높은 고임금 산업에 과다분포(over-represented)되어 있는 반면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은 소매업, 서비스업 등 경기변동에 덜 민감한 저임금 산업에 과다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중요하게는 현 연구 결과는 실질임금이 이차부문에서는 상당히 경기순응적인 데에 반해 일차부문에서는 다소 경직적이라는 분단노동시장 가설들의 공통적인 예측을 기각한다.

Analyses of the special data sets constructed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and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reveal that, compared with an annual wage measure, survey week wages are significantly counter-cyclically biased due to selecting workers with strong labor market attachment. We also find that survey week wages are more counter-cyclically biased in high-wage industries than in low-wage industries, that is, inter-industry gaps of survey week wages are counter-cyclically biased. Unlike existing longitudinal studies, the current study concludes that real wages are much more procyclical in high-wage industries than in low-wage industries, which is attributed to our adoption of annual wages that is less subject to the selectivity bias.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empirical regularity that real wages are much more procyclical for men than for women, as men are overrepresented in industries with greater real wage procyclicalities. Overall, current results do not support the predictions of segmented labor market theories for the cyclicality of real wag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