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MC-Environment and Interaction-Types on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CMC 환경과 상호작용 유형이 과학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Lee, Jeong-Su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Yoo, Jung-Mo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이정선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유정문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s of Face-To-Face (FTF) and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and between the interactions of Teacher-Students (TS) and Students-Students (SS). The activities for the interaction in the FTF and the CMC were carried out in the environments of traditional classrooms and the on-line network of communication computer, respectively. These experiments for four different groups (CMC-TS, CMC-SS, FTF-TS and FTF-SS)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103 students of three 10th grade classes at a girls' high school in Chungju city.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5questions for achievement, and 13 questions on Likert scale for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through examination of each question about the satisfaction. The mean of the science achievement in learn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MC environment than the FTF. Also, the score in the TS interaction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SS. Under the common environment of the CMC, scienc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TS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S. A similar result has been obtained in the satisfaction case even in the common environment of the FTF. The itemized analysis for the satisfaction shows a high score in the individual condition of CMC and TS, compared to that of FTF and SS, respectively. Thus, the school activity, formed in the TS interaction in the CMC environment is more effective at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FTF) 환경과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MC) 환경 사이의 차이를 과학 학습 성취도와 만족도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교수자-학습자(TS)와 학습자-학습자(SS) 상호작용 유형들 간의 차이에 대하여도 함께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충북 충주 소재의 C여자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개 반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5월 정규수업과 병행하여 3주 동안 학습 활동을 한 후에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 검사를 다음의 네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CMC-TS, CMC-SS, FTF-TS, FTF-SS. 각각 5문항과 13문항으로 구성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 측정을 위한 검사지는 통계 분석되었다. 각 집단간 학업 성취도의 평균 점수는 CMC환경을 이용한 집단(CMC)과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한 집단(TS)에서 높았다. 변량분석에 의하면, CMC환경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는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CMC-SS)에 비하여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학습활동(CMC-TS)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면대면 (FTF) 환경에서도 TS 활동 (FTF-TS)이 SS 활동 (FTF-SS) 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의 경우에 환경에서는 CMC환경이, 그리고 상호작용에서는 TS 활동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환경하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이 과학 교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상당히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2002 ICT 활용 학교교육 활성화 계획.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4-21
  2. 김미량, 1998a, 웹활용 수업 확산의 장애요인 탐색을 위한 사례연구: 학습자의 지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4(3), 55-79
  3. 김미량, 1998b, 하이퍼텍스트 학습체제에서의 상호작용 증진전략 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72 p
  4. 김지영, 성숙경, 박종윤,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 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5. 김필수, 2001,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터넷의 교육적인 활용실태 조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7 p
  6.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전략에서 소집단 구성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1), 61-70
  7. 노태희, 차정호, 박혜영, 김경은, 2002,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3), 508-516
  8. 류청산, 2002, SPSS 11.0 for Windows. 도서출판 엘리트, 460 p
  9. 박수경, 강민주, 김상달, 2001, 지구과학 해양 단원의 웹기반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1), 264-278
  10. 박수경, 김광휘, 2002, 일기와 기후 단원의 웹 기반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8), 666-675
  11. 박수연,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방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9 p
  12. 이경운, 1998, 교육정보화를 위한 학교 교육 웹사이트의 체제와 이를 이용한 고등학교 물리 수업 모형 연구 파동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7 p
  13. 임정훈, 1998, 인터넷을 활용한 가상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및 교육 효과 연구. -한국방송대학교 인터넷 가상 수업 교과목 '고전시가강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4 (2), 103-136
  14. 임정훈, 1999,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 온라인 토론 촉진을 위한 설계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37 (2), 249-270
  15. 임희준, 1998,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교수 효과와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6 p
  16.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2000, 평생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 (1), 223-246
  17. 정재삼, 김명, 조미헌, 최욱, 2002, 교수-학습과정과 학습 평가과정에서의 ICT활용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18 (1), 235-257
  18. 정혜선, 최성희, 1998, 메시지 내용분석을 통한 전자우편의 교육적 활용 연구. 교육공학연구, 14 (2), 167-186
  19. 조미헌, 1999,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중심학습 방법(NetPBL)의 활용 유형과 절차. 교육공학연구, 15 (3), 3-27
  20. 최욱, 2001,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학습 활용 모형. 교육학연구, 40 (3), 259-284
  21. 최정임, 1999, 웹기반 수업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 탐구. 교육공학연구, 15 (3), 129-154
  22. 한재영, 한수진, 노태희, 2002,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4), 717-724
  23. Brown, A.L., 1992, Design experimen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creating complex interventions in classroom setting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 (2), 141-178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202_2
  24. Chee, Y.S., 1995,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its application to the teaching of smalltalk in a multimedia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23, 133-161 https://doi.org/10.1007/BF00890449
  25. Chee, y'S., 1996, Mind Bridges: A distribution,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2 (2/3), 137-153
  26. Hung, D., 1997, Meanings, contexts, and mathematical thinking: The meaning-context model.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6 (4) 311-324 https://doi.org/10.1016/S0732-3123(97)90010-9
  27. Hung, D., 2002, Forging links betwee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schools through online learning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arning, April-June, 23-33
  28. Hurd, P.D., 2002, Modernizing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1), 3-9 https://doi.org/10.1002/tea.10002
  29. Keys, c.w., 1994,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conjunction with collaborative writing assignment: An interpretative study of six nine-grades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9), 1003-1022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2
  30. Kiesler, S., Siegel, J., and McGuire, w., 1984,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merican Psychologist, 39 (10), 1123-1134 https://doi.org/10.1037/0003-066X.39.10.1123
  31. Lumpe, A.T. and Staver, J.R., 1995, Peer 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 Learning about photsynthesi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1), 71-98 https://doi.org/10.1002/tea.3660320108
  32. Mistler-Jackson, M. and Songer, N.B., 2000, Student motivation and Internet technology: Are students empowered to lear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5), 459-47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200005)37:5<459::AID-TEA5>3.0.CO;2-C
  33. Moore, M.G. and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 A System View. Belmont, CA: Wadsworth. 양영서, 조은순 역, 1998, 원격교육의 이해와 적용. 예지각, 서울, 355 p
  34. Orion, N., Dubowski, Y., and Dodick, J., 2000,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multimedia authoring as a part of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10), 1121-1153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12)37:10<1121::AID-TEA6>3.0.CO;2-L
  35. Scardamalia, M. and Bereiter, c., 1991, Higher level of agency for children in knowledge building: A challenge for the design of new knowledge media.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 (1), 37-4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101_3
  36. Scardamalia, M. and Bereiter, C., 1993, Technology for knowledge-building discourse. Communication of the ACM, 36 (5), 37-41 https://doi.org/10.1145/155049.155056
  37. Scardamalia, M. and Bereiter, c., 1994, Computer support for knowledge communitie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3 (3), 265-283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303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