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perception of science gifted/talented students toward Nobel science prize

과학영재들의 노벨과학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심규철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 박종석 (경북대학교 화학교육과) ;
  • 박상태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변두원 (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One of main purposes to educate gifted/talented science students is to express their giftedness.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oughts of gifted/talented students including a challenge and preparation of it, because their perception of science and scientists can affect on way of thinking, study course or occupation. To investigate this, we studied on the perception of science gifted/talented students toward Nobel science prize. They have lower possibility of Korean scientists' winning Nobel science prize, but they think when they grow up adult they can win it. And most of them have a challenge of winning Nobel prize. It is necessary to study educational stimuli and strategies for gifted/talented students to prosper a challenge of science.

과학영재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과학영재들이 성장해서 그들의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무엇보다도 과학 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진로나 과학에 대한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로서의 도전감이나 그것을 위한 준비에 대한 생각 등 구체적인 과학 영재들의 사고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들이 노벨과학상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인식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과학 수준, 도전의식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과학영재들은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에 대한 기대 수준이 다소 낮았으나 자신들이 성장할 시기에는 비교적 높은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었다. 또한, 많은 영재들이 노벨상 수상에 대한 도전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23% 정도의 과학영재들은 도전의식이 없었다. 과학영재들에게 동기가 부여되어야만 자신의 잠재적 영재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영재들의 과학 분야에 대한 도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교육적 자극과 교수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원, 최성연(2002). 영재아의 부모 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2. 김언주, 육근철, 김성수, 윤여홍(2001). 과학영재의 동기에 대한 암묵적 이론 접근. 영재교육연구, 11(3), 99-127
  3. 박종석, 박원선, 박종욱(2000).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4(2), 157-165
  4.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5.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8-339
  6.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2000).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 영재교육연구, 10(1), 75-104
  7.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2000).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8. 송진웅, 박승재, 장경애(1992). 초중고 남녀학생의 과학수업과 과학자에 대한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09-117
  9.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0.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2001a).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58-565
  11. 심규철, 박상태, 박종석, 변두원, 김여상(2003).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13(2), 57-71
  12. 심규철, 박종석, 육근철(2001b). 사이버 상에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69-84
  13.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c).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 2- 재능 영역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35-148
  14. 심규철, 소금현, 이현욱, 장남기(1999)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375
  15. 육근철(1999). 학생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프로젝트 경시대회 운영결과 보고서. 한국과학재단 연구 보고서
  16. 육근철, 이군현, 박정옥, 김명환, 하종덕(1998).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경연대회 평가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31-67
  17. 오원근, 박종석, 박종욱, 정병훈(2002). 과학학습 활동에서 초등학교 상위집단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제 특성 평가 준거의 타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32-39
  18. 이군현(1988). 과학고등학교 발전 방향 정립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19. 이상법(2001). 과학영재 선발 문항 성취도의 지역별 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85-212
  20. 이상법,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발 문항 분석 및 선발 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04-621
  21. 이현욱, 심규철, 조선희, 장남기(1999). 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잠재 능력 판별 방법'의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66-275
  22. 임희준,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23.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24. Gallagher, J.J.(1979). Issue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In Passow, A.H.(editor)The gifted and the talented: their education and development, p. 28-45. Theseventy-eigh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University fo Chicago Press, Chicago
  25. Hallahan, D.P. & J.M. Kauffman. (1988). Exceptional children: introduction tospecial education.(four edi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26. Idaho State Dept. of Education. (1997). The best practice manual for gifted andtalented porgrams in Idaho.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416 664
  27. Laudau, E., K. Weissler & G. Golod. (1996). Motivation and giftedness. GiftedEducation International, 11, 139-142
  28. Renzulli, J.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Kappan, 60, P.180-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