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Relation Parameters for a Forest of Quercus variabilis by Enviromental Factors

중부지방 굴참나무림의 입지환경에 따른 생장 및 수분생리 특성에 관한 연구

  • 정동준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생태시스템공학)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rational forest management method for a natural oak (Quercus variavilis) forest stand in the central part of South Kore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water relation parameters. Average volume per hectare was 175.1 ㎥ in the study site of oak stands. Basal area and volume of each direction appeared to increase as the slope direction moves from north to south, but annual mean increment and periodic annual increment of DBH for 10 years showed the lowest value at the southern aspect. Maximum water potentials measured between 12 and 14 o'clock were analyzed by direction and elevation in the oak stands. Water potential of oak decreased as the slope chang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aspect and water potential increased at lower elevations. Soil water content for the oak stands tended to decrease as the aspect shifted from north to south. Water potential and soil moisture content were highly correlated. It appears that oaks have a higher moisture requirement at the southern aspect, because of stand density related to intraspecific competi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굴참나무 천연 임분을 대상으로 입지환경별 생장 및 수분생리 특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경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의 굴참나무림은 평균 206.5 ㎥/ha을 나타냈으며, 각 방위별로 본수, 단면적, 재적 등의 임분 통계량을 보면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연년생장량과 10년간의 정기평균 생장량은 반대로 남사면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오후 12∼14시 사이에 측정된 최대 수분포텐셜(Ψw)을 각 방위 및 고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굴참나무는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가면서 수분포텐셜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도별 수분포텐셜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증가하였다. 각 방위별 토양 수분함량은 북사면에서 남사면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토양 수분함량에 따른 굴참나무의 수분포텐셜은 고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연구 대상지의 굴참나무는 남사면에서 수분 요구도가 높은데, 이는 다른 사면 보다 생육 본수가 많아 종내 경쟁이 심한 결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문, 권기원, 문홍규, 박홍준, 1984: 수분 및 시비처리에 따른 참나무 실생묘의 생육반응.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연구보고 11(2), 207-217.
  2. 송호경, 장규관, 김성덕, 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4(3), 299-305.
  3. 신만용, 임주훈, 전영우, 고영주, 1992: 신갈나무-젓나무 천연 혼효림분의 갱신 및 무육방법. 한국임학회지 81(1), 21-29.
  4. 이경준, 1995: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514pp.
  5. 임경빈, 민영택, 김영모, 한상석, 권혁민, 1995: 참나무. 임목육종연구소, 187pp.
  6. 임업연구원, 1988: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에 관한 연구(I). 과학기술처, 226pp.
  7. 임업연구원, 1989: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에 관한 연구(II). 과학기술처, 307pp.
  8. 임업연구원, 1990: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에 관한 연구(III). 과학기술처, 449pp.
  9. 한상섭, 심주석, 1992: P_V 곡선법에 의한 잣나무엽의 수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5(1), 47-58.
  10. Cheung, Y.N.S., M. T. Tyree, and J. Dainty, 1975: Water relations parameters on single leaves obtained in a pressure bomb and some ecological interpretations. Can. J. Bot. 53, 1342−1346.
  11. Otto, H.-J., 1994: Waldokologie. Ulmer Verlag, Stuttgart, 391pp.
  12. Scholander, P.E., Hammel, H.T., Bradstreet, E.D. and Hemmingsen, E.A., 1965: Sap pressure in vascular plants. Science, 148, 339−346.
  13. Tyree, M. T. and H. T. Hammel, 1972. The measurement of the turgor pressure and the water relations of plants by the pressure-bomb technique.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3, 267−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