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nd Reforestation Problem -Comparison of Diameter Increment of Three Genus Betula Species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Forest-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 -조림지와 천연림에서 자작나무속 세 수종의 직경생장 비교-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o develope reforestation methods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stand structure and radial growth of the tre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by species and study sites. Plantation forest studied on Betula costat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etula davurica, was located at Jawoon-ni Nae-myeun, Hongcheon-gun and natural forest studied on Betula costata, was located at Jangjeon-ni Jinbu-myeun, Pyeungchang-gun. In 12.3 years after planting, differences of annual diameter increment among three Betula species were significant. The highest mean annual diameter increments, 7.67mm was measured in planting Betula costata, and followed by planting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etula davurica, and the lowest values. 4.32mm did in natural Betula costata. If planting Genus Beula in this district. Betula costata might be the best species. From these facts, massive planting of three Betula species in this district might have much problems, but might be evaluated as proper trial.

이 연구는 환경친화적이며 생태적 숲관리를 위한 활엽수의 조림기술을 개발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및 자작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거제수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12년∼13년까지의 직경생장에 자작나무속 세 수종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조림된 거제수나무의 연평균직경생장량이 7.67mm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조림된 자작나무. 조림된 물박달나무의 순으로 나타났고, 천연림의 거제수나무가 4.32mm로 최소값을 보였다. 이 지역에 자작나무속의 수종을 조림한다면 거제수나무가 가장 적절한 수종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자작나무속의 대면적 조림은 문제점은 많으나 적절한 시도였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2003) 생태적 숲관리와 조립 문제-조림지, 천연림, 맹아림에서 물푸레나무 직경생장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 456-463
  2. 김지홍(1993) 생태형태학적 특성 분석에 의한 활엽수종의 극성상지수 추정. 한국임학회지 82(2): 176-187
  3. 배상원, 김석권, 이경재, 김회채(2002) 주요 활엽수종 임목본수변화에 관한 조림학적 고찰. 2002년도 한국임학회학술연구발표논문집. 77-79쪽
  4. 북부지방산림관리청 (2001) 시험. 실연 사업지 성과 분석연구. 57쪽
  5. 윤재호(1959) 활엽수를 증식하여 山林의 內구를 개선해야 한다. 지방행정. 73:157-166
  6. 이상훈, 이돈구(2002) 백운산 지역 잣나무 및 낙엽송 인공림 내에서의 천연활엽수 발생 및 이에 관여하는 인자. 한국임학회 2002년도 학술연구발표논문집. 71-72쪽
  7. 정성호, 최문길, 이근수(1983) 중부지방 주요활엽수의 직경성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임학회지 60:24-29
  8. 허남주(1994) 국내 활엽수재 육림방향 모델(1) 국유림경영현대화를 위한 산학협동 실연 연구 -평창지역 수종을 중심으로-. 자생식물. 30:362-366
  9. Lee, D.K., Kang, H.S. and Y.D. Park(2001) Natural Restoration of Deforested Woodlands in South Korea. p.26-38, Proceedings of lnternational Seminar 'Restoration Research of Degraded Forest Ecosystem' 13-14 April, 2001, Seoul, Korea
  10. Lee, W.S(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Korean J. Ecol. 19(4): 353-361
  11. Rhim, S.J. and W.S. Lee(1999) Differences in Small Mammal Populations Due to Different Habitat Structure in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 Korean For. Soc. 88(2): 179-184
  12. Urbanska, M.K., Nigel, R.W. and P.J. Edwards(1997) Restoration Ec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