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chool Education Program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Actual Condition of Playroom Spaces

울산시 유치원의 교육 프로그램과 학습놀이공간의 실태 - 구성주의 교육을 중심으로 -

  • 김정근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원주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reate environm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Generally, preschools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used as samples for this study More particularly, 116 kindergartens were surveyed by telephone to evaluate their education programs. Four kindergartens that completely or partially used Constructivism in their programs were chosen as primary subject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preschool education in Ulsan uses an integrated education model based on activities and Montessorie. Constructivist programs were also present using Project Approach, Reggio Emilia and Piaget. Second, the number of infants per class averaged 29.3. The average infants per playroom was 2.38$m^2$. It seems, therefore, that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space for activities. Playroom furniture is primarily used for storage and it lacks variety and flexibility of use. The interior of preschools in related to materials, color and images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 among schools. Third, it was found that virtually every play space did not have adequate water playing and sand playing sections. Instead, the space for the large-muscle activities of big groups was used for this purpose. Fourth, kindergartens that use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plan to specialize their activities. Those only partially using Constructivism showed conventional tendencies and small play spaces that would be defined as inadequate according to Constructivism. This study, therefore, demonstrates that preschool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are not being well-implemented in concert with other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2. 김선옥, 유아교육 프로그램 모형에 따른 물리적 학습환경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3. 김형우, 어린이집 실내공간의 행태학적 접근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4. 교육부,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1998
  5. 나정순, 유치원 교육공간 실태 및 개성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6. 박세원, 시스템적 관점에 의한 유아교육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7. 백지현, 유치원 교실 . 유희실 공간의 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8. 심성경,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
  9. 양옥승 외 12인,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2002
  10. 이기숙 외 6인, 유아교육개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11. 이상호 외 2인, 유아교육과정 영역에 따른 실내소요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999, pp.83-90
  12. 이종업, 유치원 유희실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13. 이종희 역,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0
  14. 이연숙, 어린이집 실내 환경 디자인지침, 교육과학사, 1997
  15. 이연숙, 실내환경 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16. 임미영, 유치원의 학습놀이 공간 디자인에 관현 연구, 홍익대 박사학위 논문, 1989
  17. 최희승,. 열린 유아교육 놀이환경 실내계획 연구 : 연령별 흥미영역을 중심으로, 홍익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18. 황윤한, 제6차교육과정과 구성주의적 교육, 교육학연구, 33(1), pp.237-252,1995
  19. 황윤한, 교수-학습방법의 패러다임적 전환: 객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3(1), pp.1-23, 1996
  20. Chaille, Christine & Britain, Lory,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John Wiley & Sons, 1982
  21. Decker C.A, & Decker J.R,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Columbus, Charles E,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