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죽순대(모죽)로부터 제조한 대나무 숯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mboo Charcoal Prepared from China-grown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 문성필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
  • 구창섭 (전북대학교 유기신물질공학과) ;
  • 박상범 (임업연구원 남부임업시험장) ;
  • 권수덕 (임업연구원 남부임업시험장)
  • 발행 : 2003.06.01

초록

3, 5, 7년생의 중국산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e)를 탄화온도가 서로 다른 3 종류의 탄화로(전용, 개량 및 간이 탄화로)에서 제탄하고 얻어진 대나무 숯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전용 탄화로(800 - 1,000℃)에서 제조한 대나무 숯의 고정탄소는 죽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비표면적의 경우 죽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요오드 흡착량은 5년생이 가장 높았다. 개량 탄화로(600 - 700℃)로 제탄한 경우 비표면적과 요오드 흡착량은 전반적으로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이 탄화로(400 - 500℃)에서 제조한 죽탄의 경우 휘발분이 개량 및 전용 탄화로보다 약 2배나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정탄소는 80%이상의 높은 간을 나타내었다. 본 탄화로에서 5년생의 죽순대를 제탄하여 얻어진 대나무 숯의 경우 타 죽령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비표면적과 요오드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3, 5년생의 중국산 죽순대로 제조한 대나무 숯은 동일 죽령의 국산 죽순대로부터 제조한 대나무 숯보다 물리적 성질이 비교적 좋지 않았다. 이것은 중국산 3, 5년생의 죽순대의 조직구조가 동일죽령의 국산보다 치밀하지 못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ree different aged Chinese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e; 3, 5, and 7 years) was carbonized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kilns (special, improved and simple kiln)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co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fixed carbon of the bamboo charcoal prepared from the special kiln (800 - $1,000^{\circ}C$) tended to be decreased, 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tended to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amboo ages. The bamboo charcoal prepared from the 5-year-age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iodine value. In the improved kiln (600 - $700^{\circ}C$),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iodine value increased with the growth period. In the simple kiln (400 - $500^{\circ}C$), the amount of volatile matter of the bamboo charcoal was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from the special and improved kilns. Despite of the high amount of volatile matter in the simple kiln, the fixed carbon was more than 80%. The 5-year-aged bamboo charcoal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specific surface area and iodine valu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amboo charcoals prepared from the 3- and 5-year-aged Chinese bamboo were relatively worse those of Korean bamboo of the same ages. It was probably thought caused by less dense structure of the Chinese bamboo of 3- and 5-year-aged than the domestic in morphological asp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