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광산배수에 의한 한창탄광 부근 지하수의 오염과 자연정화처리시설 효율에 관한 연구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by Acid Mine Drainage in the Vicinity of the Hanchang Coal Mine and the Efficiency of the Passive Treatment System

  • 지상우 (한양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선준 (한양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3.06.01

초록

폐탄광에 의한 주변 지하수의 오염원과 오염 경로의 파악을 위해 강원도 평창군 소재 한창탄광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에 따라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를 이용한 자연정화 처리시설 공정의 각 단계와 폐석침출수, 탄광부근 샘물시료가 채수 및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의 오염원 규명과 SAPS조에서의 황산염 환원 발생여부를 확인하고자 황동위원소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지역의 지하수에서 계절적인 변화와 관계없이 높은 수소이온농도와 금속농도가 나타나는 것은 산성광산배수가 계절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처리시설은 산도(acidity) 제거량이 평균 18.17 g/$\textrm{m}^2$/day이고 가장 오염부하량이 많았던 9월에는 59.02 g/$\textrm{m}^2$/day 이며, 금속제거능은 거의 100%에 이르러 다른 지역의 처리시설에 비해 높은 정화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처리시설의 각 공정 단계별로는 황 함량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고 황동위원소 조성의 변화도 거의 없었는데 이는 황산염환원박테리아에 의한 황산염환원 작용은 매우 미약하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화학조성과 황동위원소 조성을 통해 샘물은 폐석침출수에 의해, 처리시설내 석축침출수는 폐석침출수와 갱구유출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지역은 갱구유출수에 대한 처리시설이 가동중에 있으나 폐석침출수에 대한 대책은 없는데 이는 다른 폐광지역에서도 유사한 상황이므로 폐석침출수에 대한 오염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Sampling of waters from each stage of treatment system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 SAPS), tailings seepage, and spring near the Hanchang coal mine of Kangwon Province were carried out seasonally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source and possible path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cid mine drainage (AM). Sulfur isotope compositions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origi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s and the sulfate reduction processes in the SAPS. Low pH and high metal concentration of spring water indicates possibility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MD. Removal efficiency of acidity of the SAPS was 18.17 g/$\textrm{m}^2$/day on an average and the metal removal efficiency was almost 100%,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 systems. However, no appreciable decrease of sulfur content and almost similar sulfur isotope compositions of water from each stage of the treatment system may suggest incomplete or very poor sulfate reduction by sulfate reducing bacteria. Chemical and sulfur isotope compositions showed that spring water was contaminated by seepage from mine tailings. And seepage of stonewall, a part of treatment system was affected by both tailings seepage and mine adit drainage. In this study site, the treatment system was constructed for the only AMD from mine adit not for tailings seepages, which resulted in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from tailing seepages. Similar situation is expected in other abandoned coal mine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배봉구, '석탄합리화사업단의 광해복구 및 환경개선사업 활동',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추계학술여행 - 폐탄광일대의 지질환경 오염과 광해복구, pp. 2-15 (1996)
  2. 정영욱, 김옥환, 이현주, 김인기, 민정식, '탄광폐석으로부터 산성배수 발생 실증시험',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자원공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 -동북아광상성인 심포지움, pp. 315-317 (1999)
  3. 김주용,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강릉탄전 임곡천 일대의 수계오염과 처리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pp. 204 (1998)
  4. 광업진흥공사, 한국의 석탄광(상), pp. 12-123 (1990)
  5. 정영욱, '광산배수의 자연정화 처리기술 현황',지질 환경 재해 및 복원기술, 한국자원공학회.지하수토양환경학회.대한광업진흥공사 공동 학술 심포지움, pp. 23-43 (2002)
  6. 지상우, 이상훈, 이현석, 유상희, 강희태, 김선준, '남한지역 탄전별 광산배수의 특성에 광한 연구',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 2003년도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pp. 389-392 (2003)
  7. 정명채, '영월.정선.평창지역 폐 석탄광산성광산배수의 환경오염 평가', 한국자원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대한지질학회, 2002년도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p. 92-94 (2002)
  8. Hedin, R.S., Naim, R.W., and Kleinmann, R.L.R, 'Passive Treatment of Coal Mine Drainage', U.S. Dept. of the Interior, Bureau of Mines. IC 9389, pp. pp. 2-35 (1994)
  9. Kelly, M. 'Mining and the freshwater environrnent',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p. 39 (1988)
  10. 지상우, 김선준, 안지현, '문경 단붕탄광 폐석장 유출수의 조성변화', 지하수환경학회지, 4(4), pp. 169-174 (1997)
  11. Kepler, D.A. and McCleary, E.C., 'Successive aikaiinity producing system (SAPS) for the treatment of acidic mine drainage', International land reclamation and mine drainage conference and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batement of acidic drainage, v.1, pp. 195-204 (1994)
  12. 임길재, 정영욱, 강상수, 조영도, 민정식, '갑정탄광 자연정화처리 시설내 광산배수의 지화학적 특성변화', 한국자원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대한지질학회, 2002년도 춘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p. 51-53 (2002)
  13. 성낙창, 강헌찬, 임재명, 김정권, '폐탄광폐수의 자연정화식 처리의 효율증진과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기술총서 97-04, pp. 289 (1997)
  14. Hoefs J., 'Stable Isotope Geochemistry', 3rd Ed., Springer Verlag, pp. 241 (1987)
  15. 이광식, 이창복, '남한강수와 하천수의 수소 동위원소 조성', 지질학회지 , 35(1), pp. 73-84 (1999)
  16. 이강근, '지하수 활용을 위한 오염예방 및 저감기술 개발 연차실적 및 계획서', 수자원의 지속저 확보 기술 개발 사업단, 과제번호(3-5-1), pp. 108 (2002)
  17. 최현수, 고용권, 김천수, 배대석, 윤성택, 강원도 지역 탄산수의 환경동위원소적 특성, Econ. Environ. Geol. 33(6), pp. 491-504, (2000)
  18. B$\ddot{o}$ttcher, M.E., Thamdrup, B., and Vennemann T.W., 'Oxygen and sulfur isotope fractionation duhng anaerobic bacterial disproportionation of elemental sulfur', Geochim. Cosmochim. Acta, 65(10), pp. 1601-1609 (2001) https://doi.org/10.1016/S0016-7037(00)00628-1
  19. Habicht, K.S., Canfield, D.E., and Rethmeier, J., 'Sulfur isotope fractionation during bacterial reduction and disproportionation of thiosulfate and sulfite', Geochim. Cosmochim. Acta, 62(15), pp. 2585-2595 (1998) https://doi.org/10.1016/S0016-7037(98)00167-7
  20. 유재영, Max Coleman, '산성배수 내 용존 황의 동위원소 조성 : 영동 및 강릉탄광 사례 연구',지질학회지, 36(1), pp. 1-1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