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rovement of the Rainfall Network over the Seomjinkang Dam Basin

섬진강댐 유역의 강우관측망 개량에 관한 연구

  • 이재형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서승운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Sumjinkang for the estimation of areal averages of heavy rainfall events based on the optimal network and three existing networks. The problem consists of minimizing an objective function which includes both the accuracy of the areal mean estimation as expressed by the Kriging variance and the economic cost of the data collection. The wellknown geostatistical variance-reduction method is used in combination with SATS which is an algorithm of minimization. At the first stage, two kinds of optimal solutions are obtained by two trade-off coefficients. One of them is a optimal solution, the other is an alternative. At the second stage, a quasi optimal network and a quasi alternative are suggested so that the existing raingages near to the selected optimal raingages are included in the two solutions instead of gages of new gages.

본 논문은 3개의 강우관측망과 최적 강우관측망을 토대로 호우의 면적 평균강우량 산정용 섬진유역 강우관측망의 개량안을 제안했다. 강우관측망 설계문제는 면적평균강우량추정분산으로 나타내지는 정확도와 자료 수집비로 구성되는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익히 알려진 분산경감법으로는 최소화 알고리즘인 SATS기법이 채용되었다. 첫 단계에서, 비용에 부과된 2개의 교환계수값에 따라 최적 관측망과 대안관측망이 얻어졌다. 다음 단계에서, 최적으로 선정된 우량국에 기존우량국이 인접해 있을 경우 그 기존국이 포함되는 준 최적관측망과 준 대안관측망을 제안했다.

Keywords

References

  1. David C. Curtis, Harry W. Dotson(1993). Rain Gage Network Size for Automated Flood Warning Systems, conference Proceeding of Engineering Hydrology, ASCE
  2. 이한구, 여운광, 최동규, 성영두(2000), '레이다 우량 자료의 검보정 및 임진강유역 홍수 예경보를 위한 우량관측망 설계',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수공분과 (III) pp. 67-70
  3. 이창엽 (2002), '섬진강댐 지점의 홍수 유출 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 65-73
  4. 한국수자원공사 (1991), '홍수분석실무', pp. 138-139
  5. 윤태훈 (1990), '응용수문학', 청문각, pp. 65-68
  6. Gupta, R.S. (1992), Hydrology and Hydraulic Systems,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Y.
  7. Eulogio Pardo-Iguzquiza, BX1998), 'Optimal selection of number and location of rainfall gauges for areal rainfall estimation using geo-statistics and simulated annealing', Journal of hydrology, 210, pp. 209-220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188-7
  8. Bras, R.L., and Rodriguez-Iturbe, I.(1976), 'Network Design for the Estimation of Areal Mean of Rainfall Event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12, No. 6, pp. 1185-1195 https://doi.org/10.1029/WR012i006p01185
  9. Bastin, G, Lorent, B., Duque, C, Gervers, M(1984), 'Optimal estimation of the average rainfall and optimal selection of rain gauge location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0, No. 4, pp. 469-470
  10. Journel, A.G. (1978), Huijbregts, C.J., 1978.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New York
  11. 유양규 (2002), '면적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 최적설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58-78
  12. 육인화 (2002), '섬진강댐 유역의 강우관측망 설계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 37-38
  13. Clayton, V.Deutch. (1998), 'GSLIB', Oxford University Press
  14. 이재형, 유양규, 정재성 (2002). '강우관측망 최적 설계 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 22권, 제5-B호, pp. 671 -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