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동조현상에 관한 연구

Comovement of International Stock Market Price Index

  • 길재욱 (한양대학교 디지털경영학부)
  • Khil, Jae-Uk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3.12.31

초록

세계 주식 시장의 주가 동조 현상은 정보화와 세계화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최근 학계와 실무 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다우지수 또는 Nasdaq 지수가 상승(또는 하락)하면 유럽 및 아시아 국가들의 주가 지수도 상승(또는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는 시장 전문가들의 견해가 아무런 실증적 분석 없이 통용될 뿐 아니라 심지어 국내 시장에서는 미국 시장의 주가 지수 등락이 국내 주가 지수의 등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 시장의 세계적 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선진 주식 시장들을 중심으로 한 국제간 주식시장의 수익률에 관한 비교 연구는 다수 있지만(Kasa(1992), Lee and Jeon(1995), Richards(1995)등), 사실 국내 주식 시장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신흥 시장에서의 국제간 주가 수익률 비교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 미 일 3국의 거래소 및 장외시장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백터자기회귀 모형(VAR)을 적용하여 그레인저 인과 관계,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 등의 실증 분석을 통해 3국의 주가지수의 동태적 실상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3국의 주가 지수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공통 요인이 있을 경우에는 적절한 오차수정모형(ECM)이 적용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또 다른 성과 중의 하나는 국제 투자론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오던 국제 분산 투자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검증을 한 미 일 3국의 주식 시장의 분산투자 효과를 중심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Comovement of international stock market prices has been lately a major controversy in the global stock market.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common trend has really existed among the US, Japan and Korea's stock markets using the econometric techniques such as VAR, VECM as applied. Pair of indices from the exchange market and the over-the-counter market in each country has been tested, and the exchange market only has been turned out that the common trend existed. The dynamic analyses us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the forecast error decomposition have followed to show that the US stock market has played some important role in the Korea and Japan's market in the exchange as well as in the OTC market. The results of the paper imply that the more careful investigation with respect to the co-integration may be necessary in the global market integration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