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악안면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의 전신영양평가

EVALUATION OF SERUM LEVELS OF SYSTEMIC STATU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ATIENTS

  • 김욱규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김용덕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변준호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신상훈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정인교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Kim, Uk-Kyu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Deok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yun, June-Ho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Hun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ung, In-Kyo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10.30

초록

본연구는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입원하여 구강암수술을 받았던 환자들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1군으로, 심한 악안면감염증으로 인한 농양으로 절개 및 배농을 시행받았던 환자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2군으로, 다발성 악안면골 골절상을 수상하여 골정복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3군으로 선정하였다. 후향적 조사연구로서 이학적 임상평가자료 및 혈중의 여러 임상병리지표들을 비교하여 각군에서의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후 1주째 또는 추가적으로 수술후 3주째 혈액검사상의 수치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출하였고 시기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량을 나타내는 수치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임상생징후 소견과와 관련하여 검사수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 각 수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성있게 나타난 경우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병리학적 수치변화로서 환자의 임상예후를 짐작할수 있는 유용한 혈액학적 지표를 확정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종양환자에서는 Hb, MCV, Albumin, Cholesterol, LDH, AST, ALT, Neutrophil, Platelet, Leukocyte, Na, K, Cl, BUN, Creatinine으로 환자의 전신영양평가를 조사 하였다. 이 중 Hb, Albumin, AST, Neutrophil, Leukocyte, Cl 만이 시기별에 따라 유의성있는 변화치를 나타내었다. 그중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Cl 이었고 술전, 술후 1주째 유의 수준차는 P=0.004로 나타났다.임상 생징후인 체온, 호흡수, 혈압모두에서 혈액학적 수치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농양환자에서는 CRP, ESR, Leukocyte, Body temperature, Neutrophil로서 감염정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중 ESR 수치를 제외한 CRP, Leukocyte, BT, Neutrphil은 시기별에 따라 모두 유의성있는 변화치를 나타내었다.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CRP로서 술전, 술후 1주째 유의 수준차는 P=0.001로 나타났다. 기대되 었던 체온변화와 다른 혈액지표와 관계는 유의성을 띠지 못하였다. 3. 골절환자에서는 Hb, MCV, Albumin, Cholesterol, LDH, AST, ALT, Neutrophil, Platelet, Leukocyte, Na, K, Cl, BUN, Creatinine으로서 종양환자에서의 항목과 동일하게 하였다. 골절치료전, 치료후 퇴원시의 변화를 통계처리한 결과 Na와 Platelet 수치를 제외하고는 유의성있는 변화치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Platelet로서 술전과 술후의 유의수준차는 P=0.009로 나타났다. 임상생징후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양환자의 검사치간의 시기별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수치들은 Hb과 Albumin, K, Na간, Neutrophil과 Leukocyte간이었고 상관계 수치는 $0.370{\sim}0.442$ 사이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조사된 수치는 Cholesterol과 ALT간, LDH와 Platelet, Creatinine간, Platelet와 BUN간, Na와 K수치간 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531{\sim}0.866$사이로 나타났다. 5. 농양환자에서의 검사치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이하인 수치들은 CRP와 Neutrophil간 이었고 상관계수는 0.422이었고 유의확률은 0.020으로 나타났다. 6. 골절환자에서의 검사치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 0.05이하인 수치들은 MCV와 K 간, Albumin과 LDH 간, AST와 Creatinine, Na, Cl간, K와 Neutrophil간, Neutrophil과 Leukocyte, BUN, K간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0.421{\sim}0.511$ 사이의 상관 계수치의 분포를 보였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유의수준이 부여된 수치들은 LDH와 AST간, ALT와 AST, Creatinine간이었고 $0.528{\sim}0.535$의 상관 계수치를 보였다. 7. 농양환자에서 CRP의 변화량이 감염양상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인것외 통상의 병리학적 혈액수치만으로 구강악안면 외과환자의 전신상태를 판정할수 있는 특징적인 양상을 띤 혈액학적 지표는 도출되지 않았다.

The purpose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ere to assess the change of serum parameter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atients after operation and to determine what laboratory parameters on treatment periods were associated with the recovery of systemic condition. For purposes of assessing systemic nutritional status, several serum parameters were chosen. The sample patients were randomsubjects extracted from three category patient groups- oral cancer, odontogenic abscess, facial bone fracture based on treated patients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 1998, to September 1, 2002. Each groups were consisted with 10 patients. Each patient chart was examined and blood sample parameters were reviewed with clinical signs, symptoms and vital sign at preoperative day, postoperative 1 day, postoperative 1 week. Several paramet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for extraction of mean valu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riods groups. The findings of serum parameters of cancer, abscess and fracture groups were as follows: 1. In cancer patients, Hb, MCV, albumin, cholesterol, LDH, AST, ALT, neutrophil, platelet, leukocyte, Na, K, Cl, BUN, creatinine were analyzed. Values of Hb, albumin, AST, neutrophil, leukocyte, Cl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periods. 2. In abscess patients, CRP, ESR, leukocyte, body temperature, neutrophil were analyzed. Values of CRP, leukocyte, body temperature, neutrophil showed significanlty differences according to periods. 3. In fracture patients, same parameters with cancer patient's were chosen. Values of platelet, Cl onl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periods. 4. In cancer patients, data regarding correlation was analyzed statistically as Pearson's valu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b and albumin, K, Na(P<0.05). A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neutrophil and leukocyte(P<0.05).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olesterol and ALT, LDH and platelet, creatinine both, Platelet and BUN, Na and K(P<0.01). 5. In abscess patients, Peason's correlation values were analyzed on parameter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only between CRP and neutrophil(P<0.05). 6. In fracture patients, The correlations of parameters also were statistically analyze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CV and K, albumin and LDH, AST and three parameters of creatinine, Na, Cl, K and neutrophil, neutrophil and three parameters of leukocyte, BUN, K(P<0.05).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DH and AST, ALT and AST, creatinine both(P<0.01).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showed the CRP levels only on abscess patients may be useful in determination of clinical infected status, but the levels of other parameters on cancer, fracture patients did not showed significant values as diagnostic aids for clinical status.

키워드

참고문헌

  1. Young EW, Johnson WT, Lundin R, Evaluation of treatment provided patients hospitalized with orofacial infections: A retrospective stud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o, 1985, 59:28-33.
  2.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s: Parameters of care for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J Oral Maxillofac Surg 1995(suppl 5)53:34.
  3. Wood GA, Wadon AJ, Nutritional support for the oral surgery patient, British J Oral and Maxillofac Surg, 1984, 22:201-207.
  4. Stone IE, Dodson TB, Bays RA: Risk factors for infection following operative treatment of mandible fractures: A multivariate analysis, Plast Reconstr. Surg.,1993, 91: 64-69.
  5. Naveau S, Molla-Hosseini C, Poynard T, et al: Nutritional status in alcoholics with and without liver disease: Are serum albumin, transferrin, prealbumin liver function tests or nutritional parameters useful?,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91, 3:143-146.
  6. Kendell BD, Fonseca RJ, Lee M, Posteroperative nutritional supplementation for the orthognathic surgery patient, J Oral Surg, 1982,40:205-213.
  7. Ylijoki S, Suuronen R, Jousimies-Somer H, et al: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the need for intensive care due to severe odontogenic infections, J Oral Maxillofac Surg, 2001, 59:867-872.
  8. Manus RC, Dodson TB, Miller EJ, Perciaccante VJ, Nutritional status of substance abusers with mandible fractures, 2000, 58: 153-157.
  9. Kubota E, Kurokawa H, Katsuki T, Evaluation of the serum level of immunosuppressive substance in oral cancer patie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1, 49:121-126.
  10. 김순호, 손한철, 이은엽, 장철훈, 최신임상검사진단학,1996, 계측문화사, P7-224.
  11. Phillips TF, Soulier G, Wilson RF, Outcome of massive transfusion exceeding two blood volumes in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The journal of Trauma, 1987, 27(8): 903-909.
  12. 배준수, 류정호, 유준영, 김용관, 신동용, 이창선, 악교정수술시 출혈량과 수혈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998, 20(4): 300-304.
  13. 김훈, 김철환, 여환호, 김수관, 관골골절에 있어 관상피판 접근법시 혈액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1, 27(1): 78-82.
  14. 장현호, 류성호, 강재현, 이승호, 김재승, 악교정수술후 출혈양과 혈액학적 변화에 대한임상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1,27(5): 435-441.
  15. 이주현, 김진수, 이상한, 김철환, 두경부감염환자에서 혈청내 Creactive protein의 변화,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3,29(1):5-13.
  16. 김미성, 남옥현, 김수관, 조세인, 구강악안면감염환자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분석,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2, 24(4): 317-324.
  17. Abubaker AO, Rollert M, Postoperative antibiotics prophylaxis in mandibular fractures: A preliminary randomized, double-blind,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2001, 59: 1415-1419.
  18. 조병호, 민승기, 오승환, 이동근, 김용각, 구강암의 치료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2, 24(3): 211-217.
  19. 권호근, 차인호, 임소정, 최충호, 김백일, 구강암의 위험요인분석을 위한 환자-대조군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2,28(5):395-400.
  20. 류정호, 김대윤, 배준수, 양병은, 유준영, 김용관, 악교정수술후 수액요법과 술후 합병증의 연관성,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1,23(5): 428-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