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 AND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S EXPRESSED IN MOVIES

영화에 나타난 소아, 청소년의 외상적 경험

  • Kim, Jae-Won (Public Mental Health Center) ;
  • Yoo, Hee-Jeo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재원 (군산시 정신보건센터) ;
  • 유희정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The authors reviewed the child and adolescent's traumatic experiences expressed in movies through late 1950s to year 2002. The movies are roughly classified by 3 categories based on the methods that used to express protagonist's experience and to uncover the meaning that is implied, that is, an important motive of growth, a metaphor of socio-political issues, or merely an event to develop a drama. Movie is a product of repetition compulsion and an activity like symbolic play between creator and spectators through screen, which enables a kind of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The curative elements in movies were also reviewed. The authors suggest the importance of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movie creators and psychiatrists because media images about psychiatric issues can make internal stereotypes in conscious and unconscious mind of spectators.

소아와 청소년의 외상적 경험은 영화에 빈번히 다루어지는 소재 가운데 하나이다. 저자들은 소아, 청소년이 영화에 표현된 양상들을 살펴 보았다. 이들 영화는 외상적 경험이 성장영화의 중요한 모티브로 쓰인 경우, 정치사회적 이슈의 은유로 쓰인 경우, 그리고 드라마의 복선이나 소재로 쓰인 경우 등 크게 세 가지의 범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영화는 만드는 이 혹은 그것을 보는 이들의 경험과 갈등과 무의식적 욕구가 반복되어 표현되는 장이면서, 어린 아이의 상징적인 놀이와도 같은 기능을 한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외상적 경험이라는 소재가 영화 속에 빈번히 다루어지는 원인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화에 나타난 외상의 치유 양상도 다양하게 드러나며, 영화 자체가 교정적 감정경험을 가능케 하는 매체로 작용하여 내적 발달을 돕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영화에 나타난 정신과적 문제들은 영화 대중의 무의식 속에 그와 관련된 전형적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으므로, 앞으로 영화에 드러나는 소아, 청소년의 외상적 경험이 보다 더 진실되게 그려지고 풍부한 의미를 생산해낼 수 있도록 영화를 만드는 주체와 정신과 의사간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