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도 맞잡기 타입과 받기의 신장에 따른 허벅다리걸기의 Kinematic 분석[2]

A Kinematics Analysis of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by Kumi-kata types and Two different Opponent's Height in Judo[II]

  • 권문석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학과 운동역학실험실) ;
  • 김의환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학과) ;
  • 조동희 (경북외국어테크노대학 태권도학과)
  • Kwon, Moon-Seok (Yong-In University Collage of Martial Arts Dept. of Judo. Sports Biomechanics Lab.) ;
  • Kim, Eui-Hwan (Yong-In University Collage of Martial Arts Dept. of Judo. Sports Biomechanics Lab.) ;
  • Cho, Dong-Hee (Kyungbuk Foreign Language Techno College)
  • 투고 : 2002.11.07
  • 발행 : 2002.08.30

초록

본 연구는 6년 이상의 유도경력 소유자인 Y.대학교 유도전공자를 대상으로 맞잡기 타입과 받기신장에 따른 허벅다리걸기 동작시 3차원 영상분석법을 이용하여 운동학적 변인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도 맞잡기 타입과 받기신장에 따른 허벅다리걸기 동작은 비디오카메라 2대를 사용하여 촬영(30frame/sec.)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운동학적 변인들은 시간, 자세, 중심변인이며,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과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얻을 수 있었다. 허벅다리걸기 동작의 맞잡기 타입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3국면 소요시간, 걸기1단계 공격둔부각, 걸기1단계 공격무릎각, 걸기2단계 공격무릎각, 걸기2단계 지지무릎각, 걸기1단계 공격발목각, 걸기2단계 공격발목각, 걸기2단계 지지발목각에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으며, 타입에 따른 걸기2단계 지지둔부각에서만 신장이 큰 받기에 대해서 A, B타입 모두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종합해보면, 허벅다리걸기를 수행할 때 맞잡기와 상대신장이 허벅다리걸기 기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의 신장이 작을 경우 목 뒤를 잡는 타입 A가 시간이 단축(<.05)되었다. 따라서 경기 중 상대의 신장이 작다면 목 뒤를 잡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유도 경기 중 허벅다리걸기를 수행할 대 맞잡기가 많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기술의 핵심단계인 3(걸기)국면에서도 받기신장에 의한 차가 더 크게 나타나 받기신장 역시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단계별 변인들의 변화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모든 변인들이 변화량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맞잡기와 받기신장은 상당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도 경기 중 상대에 따른 다양한 잡기와 신장을 고려한 기술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when the subjects performing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by Kumi-kata types((How to grasp A or B?) and two different opponent's height in Judo. Kinematic variables were temporal, posture. Data analysis was collective comparison of two-way ANOVA, t-test by type A&B and two different opponent's heigh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Kumi-kata types(p<.05) in the time elapsed on Kake phase(KP : throwing phase) and hip, knee, ankle-angle of the attacking foot in the 1st stage of KP and knee, ankle-angle of the attacking foot and hip, knee ankle-angle of the supporting foot in the 2nd stage of K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two opponent's(p<.05) in the time elapsed on KP and hip-angle of the supporting foot in 1st stage of KP. Therefore, the interaction effect(p<.05) were in the time elapsed on KP and hip-angle of the supporting foot in the 2nd stage of KP. So, It could be suggested that Judoka hold on the part-behind neck lapel(type A) at the sleeve with the other of Judogi jacked when opponent's height was short. Because the time elapsed on KP of type B was not so fast as type A(p<.05) during performed Uchi-mata, and also the bigger hip-angle of the supporting foot in the 2nd stage of KP grew, the faster the time elapsed on KP becam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섭(2000). 테니스 백핸드 드라이브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의환(1995). 유도 메치기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통한 유도인형의 유용성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의환외7명 (1993). 유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생리․심리․역학적 접근. 서울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pp.106-152.
  4. 김의환(1991). 유도경기 훈련지도서. 서울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pp. 55-73.
  5. 김의환(1989). 종목별 연구 논문집. 서울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pp. 1-202.
  6. 김의환 외6명 (1998). 유도 메치기 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 및 현장적용. 서울 : 대한체육회 스포츠과학연구소, pp. 1-119.
  7. 김의환 외7명 (1987). 한국 우수유도선수 개인별 주득점 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 서울 : 대한체육회 훈련원 스포츠과학연구소, pp. 329-475.
  8. 김의환 외4명 (1986). 유도 국가대표선수 개인특기기술의 생체역학적분석. 서울 : 대한체육회 스포츠과학연구소, pp. 395-538.
  9. 김의환(1984). 유도의 바이오메카닉스[1]. 서울 : 대한체육회 스포츠과학연구소, pp. 95-162.
  10. 김의환(1984). 유도 발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 서울 : 대한체육회 스프츠과학연구소.
  11. 김종달 외9명 (1997). 유도의 본 I. 서울 : 보경문화사.
  12. 김철영(2000). 유도교본. 서울 : 전원문화사.
  13. 유경훈(2000). 유도 경기의 사용 기술 분석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현(1993). 유도 우수선수 허벅다리기술의 운동학적 특성분석.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용인대학교유도학과교수(2000). 2000년 제27회 시드니올림픽대회 유도경기대비. 경기 : 용인대학교.
  16. 용인대학교유도학과교수(1995). 유도 지도법. 서울 : 보경문화사, pp. 134-137.
  17. 용인대학교유도학과교수(1992). 유도 지도법. 서울 : 한일출판사, pp. 116-124.
  18. 이성우(1999). 최신유도기법. 서울 : 서림문화사.
  19. 이학래(1990). 한국유도발달사. 서울 : 보경문화사, pp. 466-515.
  20. 장순용(1997). 여자유도 경기의 기술 빈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철진(1999). 전국 우수유도선수들의 각 체급별 기술분석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전병관(1983). 유도기술이 경기의 승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승필(1998). 유도 기술 중 허벅다리의 운동학적 분석.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Abdel-Aziz, Y.I.,& Karara, H.M. (1971).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to object coordinat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ASP/UI Symposium.
  25. IJF (1992). Composition of judo techniques.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26. Kodokan Editiorial Committee (1994) KODOKAN JUDO. p.102, Tokyo, New York, London : KODANSHA INTERNATINAL.
  27. Kwon, Y.-H. (1994). KWON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sion2.1 User's Reference Manual. Anyang : Visual Technology Systems.
  28. Plagenhof,S., Evans,F.G., & Abdelnour, T. (1983). Anatomical data for analyzing human mo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s. 54(2).
  29. Winter,D.A. (1979). Biomechanics of human movement, New york : John Wil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