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in the Science Subject

과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중등학생의 인식 및 자아효능감 조사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of performance assessments in the science subject. The data was obtained from 236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students had generally proper understanding about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nclude purposes of assessment and differences from other conventional achievement assessments. They responded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not useful in their science learning and developing their potential abilitie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re positively responded than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the scoring system and the originality of the evaluating materials. The female students more positively thought than males about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and the usefulness for learning science. The students' self-efficacy level of performance assessment were not low in comparison with another existing assessments. They had high level of self-efficacy in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procedures, and utilizing of experimental apparatuses, but had low level of self-efficacy in understanding purposes of experiments or issues of discussions, processing of experimental results, answering of problems in experimental discussions. The female students' self-efficacy of performance assessment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re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females' scores and their level of self-efficacy of performance assessment.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중 고등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관한 인식과 자아효능감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평가의 목적이나 기존의 정기고사와의 차별성 등 수행평가의 특성에 대해 비교적 이해하고는 있으나, 수행평가가 자신의 과학 학습이나,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하는데는 별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평가의 신뢰성이나, 평가 기준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하였다.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수행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 더 부정적(p<.01)이었다. 여학생은 수행평가의 신뢰도에 대해 남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p<.00). 학생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전체적인 자아효능감 수준은 높지 않았다. 과제의 수행과정에 대한 자아효능감 수준은 높으나, 과제 수행 결과의 정리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과학과의 수행평가를 타 교과의 수행평가나 기존의 과학정기고사 보다 더 어렵게 느끼지는 않았다. 과제의 수행 과정 중 실험 절차에 대한 이해, 실험 도구의 활용에 대해서는 자아효능감이 높았으나, 실험의 목표에 대한 이해, 토론 수업에서 토론 주제에 대한 이해에 관한 자아효능감은 높지 않았다. 과제 수행결과의 정리에 있어서는, 실험 결과의 정리, 실험 결과의 토의 문제에 대한 서술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자아효능감을 나타내었다. 여학생들의 자아효능감 수준이 남학생의 자아효능감 수준보다 높았다(p<.05). 여학생의 경우는 남학새의 수행평가 점수 보다 높았으며 자아효능감과 수행평가 점수도 유의미한 상관(r=.342)이 있었다(p<.05).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영(2000). 수행평가에 의한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중학교 과학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은진(2000). 과학교과 수행평가틀의 개발.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3. 김주희(1999). 중학교 생물실험 수행 능력 평가를 위한 도구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진규(1999). 수행평가의 실시 현황 분석과 발전 과제.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편) 교과 교육 학술세미나 수행평가의 이론 및 현장 적용 사례, 19-40
  5. 남명호(1995). 수행평가의 타당성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노영지(2000). 중학교 생물단원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과 적용.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박소영(1999). 실험.실습을 통한 수행평가에서 평가 준거 제시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박연주(2000). 중학교 과학실험 수행에 대해 평가 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백순근(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국립교육평가원
  10. 안지연(2000). 과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현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윤동영(1999). 수행평가피드백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이종태(2000).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반응 분석.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전경문, 노태희(1997). 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 및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415-423
  14. 정현곤(2000). 수행평가의 저해요인 규명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수행평가 현장 정착을 위한 세미나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현미숙 (2001). 중학교 과학교육과정에서 수행평가의 일반적 사항과 적절한 수행평가 방법에 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Baron. M. A.. & Boschee. F.(1995) Authentic assessment: The key to unlocking student success. USA: Technomic Publishing Co. Inc.
  18. Bandura, A.(1977).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9.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 122-147
  20. Ridley, D.. & Novak, J.(1983). Sex-related differences in hig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enrollments: Do they give males a critical headstart toward science and math-related careers?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X XI X. 308-318.
  21. Ruiz-Primo. M. A.. & Shavelson. R. J.(1996), Rhetoric and reality in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an updat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1045-106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45::AID-TEA1>3.0.CO;2-S
  22. Shymansky, J. A.. Chidey, J. L.. Heihriques, L. (1997).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as a tool to enhance the picture of student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 172-183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7.tb17364.x
  23. Solano-Flores, G & Shavelson. R. J.(1997),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science: conceptual, practical, and logistical issues. Educational Measurement. 16(3), 16-25
  24. Zimmerman, B. J.(1997),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A. Bandura (Ed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