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the Seventh Grade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Measurement Theory

측정이론에 관한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선개념 조사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measurement theory; repeating measurements. how to handle repeat measurements, measurement errors, and uncertainty. Thirty students in seven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conceptions were elicited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notes. Half of the students measured only two times. and none of them more than five times. After repeating measurements, seventy seven percent of them selected result according to their feelings, while only thirteen percent of them calculated the mean. Sixty percent of them regarded the main cause of measurement errors as their mistakes, not as the problems of environment or measuring instrument. Most students thought the main reason of various results by different persons or time period as human. Forty percent of them denied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while thirty three agreed, and most students thought the reason of uncertainty was due to human imperfection. This study showed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know how to handle repeat measurements, and they regarded the cause of measurement errors as their mistakes. In addition, they thought the main reason of various measuring results and uncertainty as human.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반복 측정, 대푯값 선정, 오차, 측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신개념을 관찰 및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50%의 학생들이 단 두 번만 측정하였고, 5번 이상 측정한 학생은 없었다. 반복 측정 후에 77%의 학생들은 자신의 느낌에 의거하여 측정값 중에서 대푯값을 선택하였고, 13%의 학생만 평균값을 계산하여 대푯값으로 정하였다. 60%의 학생은 측정 오차의 원인을 환경이나 측정 도구보다는 자신의 과실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에 의한 측정값이나 사간차를 둔 측정값이 달라지는 원인을 인간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측정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묻는 질문에 대하여 완전히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40%, 측정은 불확실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33% 이었다. 학생들은 이에 대한 판단 근거로 주로 인간의 한계를 생각하였다. 결론적으로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반복 측정 및 대푯값 선정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였고 측정 오차의 원인을 자신의 과실로 생각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측정 결과가 다르거나, 측정이 불확실한 원인을 인간으로 생각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시중, 정완호, 한복수, 우종옥, 이종면, 임경배, 정근화, 민경덕, 구창현, 이광석, 최돈형, 김병국, 이상진, 박범익(1995). 중학교 과학 1, 금성교과서, 189
  2. 서정아(2000). 정량적 물리개념에 대한 어림활동과 측정활동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송인명, 박승재, 고재걸, 오길한, 김대중, 이춘우(1973). 새로운 물리학 실험, 탐구당, 8-23
  4. 정창희, 이원식, 강만식, 이인규, 송희성, 윤홍식, 이금희, 한인섭, 박은호, 문찬호, 윤용(1995). 중학교 과학 1, 교학사, 183
  5. Baird, D. C.(1995). Experimentation. an Introduction to Measurement Theory and Experiment Design, 3rd ed. Prentice-Hall. N.J.
  6. Kuhn, T. S.(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김명자(역). 서울: 동아출판사
  7. Lubben, F. & Millar, R. (1996). Children's ideas about the reliability of experimental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8), 955-968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807
  8. PSSC(1965). PSSC Physics, PSSC 번역위원회(역). 탐구당
  9. Sere, M.(1993). Learn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easurement err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4), 427-438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406
  10. Varelas, M.(1997). Third and fourth graders' conceptions of repeated trials and best representatives in science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9), 853-87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1)34:9<853::AID-TEA2>3.0.CO;2-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