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lor Navigation System for Effective Perceived Structure: Focused on Hierarchical Menu Structure in Small Display

지각된 정보구조의 효과적 형성을 위한 색공간 네비게이션 시스템 연구 -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위계적 정보구조를 중심으로 -

  • 경소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HCI Lab.) ;
  • 박경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HCI Lab.) ;
  • 박준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HCI Lab.) ;
  • 김진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HCI Lab.)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effective ways to help users form a correct mental model of the hierarchical information space (HIS) in small display. The focus is the effect of color cue o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navigating the information space. The concept of color space (CS) corresponds well to the HIS - one color has a unique position in the CS as a piece of information does in HIS.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examined two types of color cue, namely, categorical and depth cue. Hue was used as a categorical cue and tone was used as a depth cue. In our experiment,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lor cues in the mobile internet system.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four searching tasks and four comparison tasks. The results of experiment reveal that the categorical cues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r's mental model whereas decrease navigation performances. The depth cues cannot aid in understanding the HIS as well as improve navigation performances. This study concludes with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escriptions of future studies.

작은 화면에서 방대한 규모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정보구조가 잘 조직화되어야 하고, 항해 보조장치가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계적인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지닌 정보공간을 작은 디스플레이 공간(small screen)에서 제시할 때 사용자가 실제 공간 구조차 유사하게 내적 모형(internal model)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어떻게 항해 단서(navigation cue)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색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색공간 개념이 위계구조의 정보공간과 잘 맵핑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정보공간을 위한 색공간은 색상과 톤 개념을 기반으로 정의되었다. 1차 사전 설문조사가 진행되었고, 2차 본 실험을 통해서 색 단서(color cue) 제공이 사용자의 공간구조 이해 및 항해 성과(navigation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첫째, 카테고리 구분을 위해 사용된 색상은 정보공간의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항해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톤으로 제공된 정보 깊이에 대한 단서는 정보공간의 개념 이해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항해 성과에도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기술로 마무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