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Consumer's Response to Advertising Styles According to Brand Hierarchy

브랜드위계수준에 따른 광고스타일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is research verified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ad information format and layout based on resource-matching theory. Existing researches suggested inconsistent results that it's effective to design advertising easy to understand by using factual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tegrated layout or it's effective do design difficult advertising to understand by using explanatory information presestation and separate layou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vertising effect by advertising design style is different according to situational elements such as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brand hierarchy.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high prestige brand, easily designed advertising using factual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tegrated layout is more effective because consumers make favorable inference by remained cognitive resources. Contrary to this in the low prestige brand, not easily designed advertising using explanatory information and separate layout is more effective because consumers have no remained cognitive resources so that they concentrate on advertising itself.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광고반응에 있어서 자원-부합이론(resource-matching theory)을 근거로 하여 광고정보제공 형태 와 광고레이아웃에 따른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연구에서는 사실적인 정보제공과 통합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쉽게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거나 또는 설명적인 정보제공과 분리적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어렵게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광고설계스타일에 따른 효과가 정보처리동기수준이나 브랜드위계수준과 같은 변수들에 의해 상황적으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에서 명성브랜드인 경우에는 사실적인 정보제공과 통합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쉽게 설계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스스로의 잉여자원으로 브랜드에 대한 우호적 추론을 광고반응에 결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비 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설명적인 정보제공과 분리적 레이아웃을 통해 이해하는데 상당한 인지적 노력을 투여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잉여자원을 통한 추론을 억제하고 광고자체에 몰두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