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and Work History of Women Self-Employed

여성 자영업자의 특성과 취업력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three points. Firstly the size and trend of women self-employed in korea are analysed during 30 years. Seco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abor condition like working hour, income and etc. of them are presented. Last, when did they begin or end their own work as their life stages were changed.

본 논문은 여성 자영업자의 이론적, 정책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연구가 결여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여성자영업자에 대한 기본적인 실태와 함께 이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여성 자영업의 규모의 변화추세를 보면 첫째 우리나라의 자영업 부문은 1960년 이후 점차 감소하였으나 1990년대를 기점으로 자영업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자영업의 절대 비율이 경제발전단계에서 예상되는 비율에 비해 높다. 둘째 1980년대 이후 자영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의 경우 여성 자영자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남성 자영자의 증가가 더욱 가파르다. 셋째 고용주의 여성비율은 19.3%로 매우 낮지만 점진적으로 여성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영자는 35.6%로 여성비율이 감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예상대로 자영업의 비율이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여성 자영업주의 인구학적 특성은 임금근로자에 비해 고연령의 저학력의 특성을 보인다. 자영업주 내에서 이질성을 보면 고용주는 자영자보다 평균연령이 낮고 고학력이어서 자영자 중성과가 좋은 집단이 고용주로 진입하기보다는 두 집단의 진입경로가 처음부터 다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자영자의 학력은 다른 종사상의 지위와 비교할 때 일용직근로자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어서 여성 자영자들의 대부분이 임금근로자로 진입하지 못한 생산성이 낮은 집단일 확률이 높다. 혼인상의 특징을 보면 다른 집단보다 기혼비율이 높은 가운데 사별의 비율이 가장 높다. 이는 가장 높은 유배우율을 보이는 무급가족종사자와 가장 대조되는 점이다. 반면 일용근로자 역시 사별의 비율이 자영자 다음으로 높아 이 두 집단의 경우 사별 이후 생계를 책임져야 되는 처지에서 진입이 용이한 취업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성의 취업력을 분석하면 결혼, 출산 등의 생애단계를 거칠 때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변하는 것은 물론 종사사의 지위 역시 달라진다. 결혼과 첫 출산을 전후해서 상용고의 비율은 크게 하락하는 반면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크게 상승한다. 이와 같이 30대 이후, 결혼과 울산 이후 상용직으로 진입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반면 자영자로의 진입비율이 높은 이유가 상용직에의 진입을 원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이나 여성 개인의 저능력 등으로 진일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한 자영업을 선택한 비자발적 요인인지 흑은 자영업자의 높은 수익성과 일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선호하여 선택한 자발적 요인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금재호 . 조준모. '자영업의 선택에 관한 이론 및 실증분석'. "勞動經濟論集" 제23권 특별호. 2000 : 81-107
  2. 김우영. '취업형태의 비교우위와 자영업주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勞動經濟論集" 제23권 특별호. 2000 : 55-77
  3. 류재우 . 최호영."우리나라의 자영업부문에 관한 연구'. "勞動經濟論集" 제22권 제1호. 1999 : 109-140
  4. 류재우 . 최호영 '자영업부문을 중심으로 한 노동력의 유동' "勞動經濟論集" 제23권 제1호. 2000 : 137-165
  5. 성지미.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제3회 345-364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한국노동연구원 . 한국노동경제학회주최
  6. 안주엽. '경기변동과 일자리탐색기간 임금노동과 자영업의 선택' "勞動經濟論集" 제23권 특별호. 2000 : 109-32
  7. 정진성, 장지연. '여성 비임금근로자의특성과 생애경력.' "성곡논총" 제32집 하귄. 2001: 53-83
  8. Aronson, Robert L. Self-Employment: A Labor Market Perspective. Ithaca, New York: ILR Press, 1991
  9. Blanchflower, David, and Oswald Andrew J. 'What Makes an Entrepreneur?' Joumal of Labor Economics 16 (January 1998): 26-60 https://doi.org/10.1086/209881
  10. Blau, David. 'A Time Series Analysis of Self-Employment.' Joumal of Pohtical Economy 95 (June 1987) : 445-67 https://doi.org/10.1086/261466
  11. Bregger, John E. 'Measuring Self-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Monthly Labor Review 107 (January/February 1996): 3-9
  12. Evans, David S., and Leighton, Linda. 'Some Empirical Aspect of Entrepreneurship.' American Economic Review 79 (June 1989): 519-35
  13. Evans, David S., and Jovanovic, Boyan. 'An Estimated Model of Entrepreneurial Choice under Liquidity Constraints.' Joumal of Political Economy 97 (August 1989): 808-27 https://doi.org/10.1086/261629
  14. Hundley, G. 'Male/'Female Eamings difference in Self-Employment: The Effects of Maniage, Children and the Household Division of Labor,'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4(1) (Oct 2000): 95-114 https://doi.org/10.2307/269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