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sideration of family policy through a discourse about modern motherhood

근대 모성담론을 통해 본 한국가족정책의 방향

  • 서수경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scourses about modem motherhood in Western und Korean society in order to find a new basis for the family policy. The general view that motherhood is merely natural ceased to be valid since the early 1980ties. Nowadays one is rather inclined to define motherhood as a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 which goes far beyond the biological dimensions. The concept of motherhood which has been useful to fulfil the industralisation in the modem times cannot be applied to the changed world of our times. The family polic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women must not start from the modem motherhood ideology but from the context of the changed life of woman in our tim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timulating the discourse about the family policy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nged living conditions.

Keywords

References

  1. 노노야마, 하사야(2001). 가족복지. 나눔의 집
  2. 노영주(1996). 여성의 경험으로서의 어머니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 35-55
  3. 노영주(2000).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71-83
  4. 루소, 장 자크(2000). 루소의 교육론 에밀. 안인희 편역. 양서원
  5. 문소정(2001). 한국 가족의 근대성에 대한 성찰. 전통과 서구의 충돌. 역사문제연구소 엮음. 역사 비평사, 33-52
  6. 박민자(1995). 가족정책과 가족. 가족과 한국사회.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369-404
  7. 벡, 울리히(1991). 공업화된 ‘위험사회‘로 가는 길목에서. 현대 독일 사회학의 흐름. 최재현 엮음, 형성신서, 339-349
  8. 벡-게른스하임. 엘리자벳(2000). 내 모든 사랑을 아이에게?. 이재원 옮김. 새물결
  9. 서러, 새리 엘(1996). 어머니의 신화. 박미경 옮김. 까치
  10. 서수경(2001). 독일과 한국의 가족교육 비교 연구-사회정책적 차원. 한독교육학연구, 6(2), 43-67
  11. 서수경(2002). '포스트모던 가족' 담론과 한국 가족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40(5), 95-108
  12. 신경아(1999). 1990년대 모성의 변화: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모성의 담론과 현실. 심영희 외 공편, 나남신서, 389-413
  13. 양옥경, 김혜영(2001). 가족의식을 통해 본 가족 정책의 방향: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3(2), 29-55
  14. 윤택림(2001). 한국의 모성. 미래인력연구원
  15. 이연정(1999).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모성의 담론과 현실. 심영희 외 공편, 나남신서, 21-42
  16. 이진숙(2001). 새로운 시대의 결혼문화와 가족의 미래. 탈근대세계의 사회학. 우리사회문화학회편. 157-182
  17. 조 은(1999). 가족제도의 운명과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 창작과 비평, 봄호, 45-53
  18. 조정문, 장상희(2001). 가족사회학. 현대사회에서 가족은 무엇인가. 아카넷
  19. 함인희 (2001). 다양한 가족: 신화로부터의 탈출 변화하는 사회 다양한 가족. 이동원외 공저. 양서원
  20. 페스탈로치, 요한 하인리히(1999). 페스탈로치가 어머니들에게 보내는 편지. 김정환 옮김, 양서원
  21. Beck, U. (1986).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 Moderne. Suhrkamp Verlag Frankfurt am Main
  22. Beck, U., Beck-Gernsheim E. (1990). Das ganz normale Chaos der Liebe. Suhrkamp Verlag Frankfurt am Main
  23. Beck-Gernsheim E. (1998). Was kommt nach der Familie?. Verlag C. H. Beck Muenchen
  24. Peuckert, R. (1991). Familienformen im sozialen Wandel. Leske-Budrich Opladen
  25. Schuetze, Yvonne (1991). Die gute Mutter. Zur Geschichte des normativen Musters 'Mutterliebe'. Kleine Verlag Bielef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