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hapter "I. Me and My Family Life" in Textbooks of Art-Home economics with a view of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구조기능이론의 관점으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I. 나와 가족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analysis of the Chapter on Family in textbooks of a Middle school course at the aspect of Parson's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In this analysis, We'd like to explore how the value of family is expressed in the Art-Home Economics textbooks. Generally, family is a subsystem in the structural system of whole society and family has two main functions to promote stability and equilibrium from the Parson's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point of view. Today, the concern with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is dominantly reflected in textbooks, even though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is not appropriate to explain family of modem society. Like that, the question now arises: the family history and interaction is ignored in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That is to say, There are limitations of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The textbooks of Art-Home Economics wa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severely changed in terms of external system of textbooks. But, we didn't know how much the view of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is involved in textbooks.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view of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Theory in the Art-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the Contents Analysis. At the same time, we find the confusion of family value revealed in textbooks.

Keywords

References

  1. 김병무(2001). 현대사회학의 이해: 인간과 사회 그리고 문화. 서울: 청목출판사
  2. 김정자,윤인경,이용순(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 III ) -기술. 가정-. 교육부
  3. 김판욱 외(2000). 중학교 기술.가정 1. 서울: 지학사
  4. 봉공진 외(2000). 중학교 기술.가정 1. 서울: 형설출판사
  5. 서선희(1999). 1970년대 이래의 한국 가족의 변화와 앞으로의 변화 방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147-163
  6. 성화경 외(2000). 중학교 기술. 가정 1. 서울: 동화사
  7. 송해균 외(2000). 중학교 기술. 가정 1. 서울: 대한교과서
  8. 신수진(1999).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 전통.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권(1), 165-192
  9. 여성한국사회연구회(2001). 가족과 한국사회: 변화 하는 한국가족의 삶 읽기-. 서울: 경문사
  10. 유태명(1999). 가정과 교육방향의 재조명을 위한 가정학 철학 정립의 중대성. 전국 가정교과 모임: 올바른 자리 매김을 위한 가정교육(99년겨울자주연수자료집)
  11. 윤인경 외(2000). 중학교 기술.가정 1. 서울: 교학연구사
  12. 윤지현(1998). 가정과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로서의 생활의 개념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봉구 외(2000). 중학교 기술.가정 1. 서울: 금성출판사
  14. 이상혁 외(2000). 중학교 기술 1. 서울: 두산
  15. 이승신 외(2000). 중학교 기술 1. 가정 1. 서울: 천재교육
  16. 이영자,김혜순,민경자,이정옥(1994). 성평등의 사회학. 서울: 도서출판 한울
  17. 정성봉 외(2000)중학교 기술. 가정 1. 서울: 교학사
  18. 최하식 외(2000). 중학교 기술.가정 1. 서울: 도서출판 업투
  19. 하용출 편(2001). 한국 가족상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 황원영(1998). 교육과 사회비판이론 -합리성과 비판-. 서울: 양서원
  21. Brown, M. M. (1993).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Basil: Ideas by whil:h home economists understand themselves. Michigan State University
  22. Craib, I. (1988). Modern Social Theory; from Parsons to Harbermas; 김동일(1988). 현대사회 이론의 조명-파슨스에서 하버마스까지-. 서울: 문맥사
  23. Elliot, F.R. (1986). The Family: Change or Contisuity? 안병철,서동인(1993). 가족 사회학. 서울: 을유문화사
  24. Michel, Andree (1986). Sociologie de la Famille et dumanage; 변화순,김현주(1991). 가족과 결혼의 사회학. 서울: 한울 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