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cational Conditions and Declining Function of Iksan Free Trade Zone

익산자유무역지대의 기능약화와 입지여건의 문제점

  • 문남철 (서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Iksan Export Free Zone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xport promotion, the employment augmentation,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promotion through the attrac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declining function with diminu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exportation and employment since the middle of the 1980s. The decline factor of the function was inherent in disregard of the necessary locational factors for Export Free zone's function promotion and without respect to conditions in a choice of location. And the present labor intensive industrial structure of region has some difficulties with a modification of Export Free Zone's industrial structure to a 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According to the lack of coherent policy, a limited plottage and a lack of the extensible space decrease the effect of agglomeration and economic of scale. And the lack of governmental policy to create a dynamic advantage comparative with an amelioration of the locational conditions of region diminish the regional attractive force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선진 외국인 투자기업 유치를 통해 수출진흥, 고용증대, 기술향상의 추구와 지역사회개발촉진을 위해 설치된 익산자유무역지대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외국인 투자업체, 수출, 고용이 감소되면서 그 기능은 크게 약화되어 수출자유지대로서의 존재가치가 무의미한 실정이다 익산자유무역지대의 기능의 약화 요인은 적지선정에 있어 수출자유지대의 기능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입지요인과 지역이 지니고 있는 입지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선정됨으로서 설립초기부터 입지상의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현재의 노동집약적인 지역산업구조는 저임금에 기초한 노동집약적 업체의 집적지라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작용하여 기술집약적인 첨단산업으로의 자유무역지대의 산업구조 개편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정책의 일관성 부족으로 인한 협소한 부지면적과 부족한 확장공간은 기업의 집적효과와 규모의 경제를 약화시켰으며, 열악한 입지여건을 개선시키고 지역의 동태적 비교우위를 창출하려는 정부의 정책과 의지부족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투자 유인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