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Determination of the Risk Level at Signalized Intersection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예측모형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 홍정열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도철웅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Since 1990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 which requires more urgent measures to insure safety on intersection.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road conditions, traffic conditions and traffic operation conditions on signalized intersection.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would impose obstructions in safety, and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to evaluate the safety of an intersection using the cop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and an accident. In addition, the focus was made on suggesting appropriate traffic safety policies by dealing with the danger elements in advance and on enhancing the safety on the intersection in developing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ir a signalized intersection.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at an intersection located in Wonju cit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It consisted of the number of accidents, the road conditions, the traffic conditions, and the traffic operation conditions at the intersection.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n the results identified the elements that had close correlations with accidents. They included the area pattern, the use of land, the bus stopping activities, the parking and stopping activities on the road, the total volume, the turning volume, the number of lanes, the width of the road, the intersection area, the cycle, the sight distance, and the turning radius. These elements were used in the second correlation analysis. The significant level was 95% or higher in all of them. There were few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accident rate were the number of lanes, the turning radius, the sight distance and the cycle, which were used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mula considering their distribution. The model formula was compared with a general linear regression model in accuracy. In addition, the statistics of domestic accidents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the accidents and to classify intersections according to the risk level. Finally, th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Spearman-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o see if the model was appropriate. As a resul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highly significant with the value of 0.985 and the ranks among the intersections according to the risk level were appropriate too. The actual number of accidents and the predicted one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risk level and they were about the same in the risk level for 80% of the intersections.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건수는 90년 이후로 계속 증가해오고 있는 추세이므로 교차로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 교차로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조건 등을 분석하여 안전성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과 사고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각 교차로의 안전을 평가할 수 있는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교차로사고예측모형은 사전에 위험요소들을 처리하여 적절한 교통안전 정책을 세우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교차로의 안전성을 높이려는데 목적이 있다. 교차로 내의 사고건수는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년 간의 원주시 교차로 사고건수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교차로들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운영조건은 현장 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1차 통계 분석한 결과 사고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요소들로는 지역유형, 토지이용, 버스정차활동, 노상 주 정차 활동 전체교통량, 회전 교통량, 차로수, 도로폭, 교차로 면적, 주기, 시거, 회전반경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의 요소들을 가지고 2차 상관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95%이상 만족하고, 각각의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적어 사고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차로수, 회전반경, 시거, 주기가 선택되었다. 따라서 위의 요소들로 각 요소들의 분포현황에 알맞은 교통 사고예측 모형 식을 만들고,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과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국내 사고통계를 이용하여 사고건수의 분포도를 분석한 후 교차로의 위험 수준을 단계별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Spearman 순위상관계수에 적용하였더니 결정계수 값이 0.985로 매우 유의 하다는 것과 모형식에서 구해진 각 교차로별 위험 순위도가 거의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사고건 수와 예측사고건수를 본 연구에서 분류한 위험수준으로 비교한 결과 교차로의 80%가 위험수준이 같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다는 일반적인 명령과 개별적인 행정행위를 구분하고 명령에 대하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수 있었다.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0.2 uM농도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 5 uM농도에서 매우 강하게 유도되었다. ADC 처리가 페암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페암세포주에서 MHC 및 B7분자의 발현은 유도되지 않았다. 또 ADC농도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5 uM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알아본 결과 ADC 처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은 매우 감소하였다. 결론: 폐암세포주에서 ADC처치는 MAGE, GAGE 및 NY-ESO-1과 같은 세포독성 T 림프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ADC의 세포독성과 항원 발현 유발시간을 분석할 때 1 uM 농도에서 48시간 처치한 후 ADC가 없는 배지에서 수일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DC를 처치하여도 MHC 및 B7의 발현의 변화는 없었으므로 ADC를 처치한 폐암세포를 암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MHC나 B7 및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량이 거의 없고, 적은 alkalinity 소모에 의한 경제적 이익 등 장점을 가진 공정으로 보여 진다.수록 푹신한

Keywords

References

  1. 교통공학원론(上) 도철웅
  2. 대한교통학회지 v.19 no.6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및 적용 (광주광역시 4-지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하태준;강정규;박제진
  3. 교통안전연구논집 교차로 교통사고 위험도평가지수의 개발에 관한 연구 심관보
  4. 교통통계 경찰청
  5.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
  6.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도로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윤상
  7.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논문 교차로 안전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김원철
  8. 대한교통학회지 v.17 no.4 상충기법을 이용한 교차로 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이수범;강인숙
  9. Accident and capacity comparisons of leading and lagging left turn signal phasings Sheffer;Janson
  10. TRR 1581 Effect of Median Treatment on Urban Arterial Safety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James A. Bonneson;Patrick T. Mccoy
  11. TRR 1010 Effect of signal timing on traffic flow and crash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Zador.P.;Stein.H.;Shapiro,S.;Tarnoff,P.
  12. TRR 1401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s James A. Bonneson;Patrick T. McC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