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무실 조명에서의 Discomfort Glare 계산법 적용 및 평가

Evaluation of Discomfort Glare Indices in Office Lighting

  • 허남돈 (강원대학교 전기공학과) ;
  • 김훈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정보통신공학부)
  • 발행 : 2002.11.01

초록

실내공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명방식으로 TAL 및 전반조명방식 등을 언급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실내 조명환경에서는 전반조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주요한 조명기술 요소가 바로 Glare이며, 특히 VDT를 사용하는 작업환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실내 조명환경에서의 Glare에 대한 연구 및 평가법은 CIE 및 IESNA 등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각종 실내 조명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의 실내 조명상황에 대해 Glare평가를 위한 G 분류가 제시되고 있지만, 평가에 있어 그 한계성이 있으며, 이 외에는 좀더 상세한 Glare 규정이 없는 실정이며, 각종 실내 조명환경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요 Glare규정들을 가지고, 국내의 조명상황에 맞춰 실내 공간 및 조명기구 등을 각각 선정한 후, Glare 평가법들을 적용하였다. 또한 국내의 실내 조명환경에 적합한 Glare Index를 제시하고자, 평가법 상호간의 비교 및 적합성을 꾀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국내에 맞는 Glare Index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In the interior lighting, usually we refer to TAL and general lighting. The last one is that we generally adopt it in the interior lighting conditions. Here, glare is most important factor of them, especially in working place using VDT. Reference or development of estimation on glare has been studied in CIE, IESNA etc. and these of glare regulations now are applied differently in the interior lighting design or estimation on glare. But we have no glare regulation in detail, of course except G classification, which has limit of itself, so in my case it is impossible to apply in the interior lighting. On this paper, with some of main glare regulations in the world and our conditions in the interior lighting which are selected carefully, in an actual state it has been estimated So, it intended to blow which one is most suitable or what factors are considered of them, also show glare index which are appropriate to our interior ligh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Joseph B. Murdoch, “Illumination Engineering - From Edition's Lamp to the Las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 “Guide on Interior Lighting”, Publication CIE No 29.2 (1986).
  3. “Discomfort Glare in the Interior Working Environment”, Publication CIE No 55 (TC-3.4) 1983.
  4. David C Pritchard, “Lighting”, Fourth Edition, Longman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5. 김 훈, “조명의 이론과 실제”, 강원대학교 특성화사업단.
  6. R. Mistrick & A. Choi, “A Comparison of Visual Comfort Probability and Unified Glare Rating Systems”, Journal of IESNA, 1999 vol.28 no2.
  7. “Technical Report : Discomfort Glare in Interior Lighting”, CIE 6th Draft November 1992.
  8. P. Nagi & P. Boyce, “The Effect of Overhead Glare on Visual Comfort”, Journal of IESNA, Summer 2000.
  9. 이정욱, “인텔리전트 빌딩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배광결정과 형광등기구 설계”, 공학석사학위논문, 2001.2.
  10. 박관, 박상현, 권종욱, "노후 고층사무소건물의 내부공간 개선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권 11호(통권133호), p.37-44, 1999.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