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Korea( I ) - Distribution of the Evergreen Broad-laved Forests and Category of Degraded Levels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 - 상록활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 박석곤 (호남대학교 녹지생태학연구실) ;
  • 오구균 (호남대학교 환경디자인공학부)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mostly-degrade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EBLF) and to make a restoration plan of EBLF in the Korean warm temperate, the distribution of EBLF and forest vegetation typ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categories of degraded levels have been set. The coverage of the EBLF in the Korean peninsula was approximately 10,285ha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the actual vegetation map. Forest vegetation types have been investigated at thirty-two area of the south coast and inland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As a resul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as 52 types; 26 types of EBLF, 13 types of semi-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9 type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4 types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The categories of degraded levels were divided into 8 levels and 14 sub-level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percentage(I.P.) and the number of warm temperate species.

대부분 훼손된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보전실태 파악 및 복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상록활엽수림 분포와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하고,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기존 문헌과 현존식생도를 토대로 파악한 한반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10,285ha이었다 난온대 지역인 남해안과 내륙일대 등의 32개 지역에서 산림식생유형을 파악한 결과 상록활엽수림은 26개 유형, 준상록활엽수림은 13개 유형, 낙엽활엽수림은 9개 유형, 상록침엽수림은 4개 유형, 총 52개 산림식생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난온대 수종의 상대우점치와 수종 수에따라 훼손등급을 8개 등급, 14개 세부훼손등급으로 세분하여 훼손등급 기준을 설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식, 오구균(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환엽수림 복원 모형(Ⅱ)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환경생태학회지 10(1): 128-139
  2. 김종홍(1987) 한반도 상록활엽수에 대한 식물사회적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5쪽
  3. 김철수(1984) 흑산군도의 식물상(Ⅰ)-대흑산도를 중심으로-. 연안생물연구 1(1): 67-91
  4. 김철수(1986) 흥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연안생물연구 3(1): 1-36
  5. 김철수, 박연우(1988) 소흑산도의 식생에 관한 식관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5(1): 1-41
  6. 김철수, 박연우. 中越信化(1989) 보길도의 식물상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6(1): 65-95
  7. 김철수, 오장근(1990a)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 사회학적 연구 -조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3): 181-190
  8. 김철수, 오장근(1990b)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Ⅱ) -금오열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4):343-359
  9. 김철수, 오장근(1991a) 주도의 식생. 목포연안생물연구소. 완도군, 75쪽
  10. 김철수, 오장근(1991b) 해남반도의 상록수림의 종구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4(3):243-255
  11. 김철수, 오장근(1992)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ⅴ) -소안도와청산도를 중심으로-. 연안환경연구 9(1): 1-42
  12. 김철수, 오장근(1993) 대국흘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연안생물연구 8(1): 1-11
  13. 남부임업시험장(2000) 난대림 자원조성 및 관리 연구. 임업 연구 사업보고서, 242-381쪽
  14.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Ⅰ)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1):87-102
  15. 오구균, 김용식(1997a) 난대 기후대의복원 모형(Ⅳ) -사례지의 식생구조-.환경생태학회지11(3): 334-351
  16. 오구균, 김용식(1997b) 난대 기후대의복원 모형(ⅴ) -사례지의 복원전략-.환경생태학회지11(3): 352-365
  17. 오구균, 최송현(1993) 난은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16(4): 459-476
  18. 오장근(1995) 韓國多島海域과 日本長崎縣에 分布하는 常綠闊葉樹林의 比較硏究. 木浦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81쪽
  19. 임경빈(1993) 천연기념물. 대원사, 542쪽
  20. 임양재(1970) 한반도 기후조건과 수종의 분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5: 315-336
  21. 주상우(1957) 한국 난대계 상록활엽수의 재검토. 경남고등학교 학보 1-8쪽
  22. 환경부(1990) 현존식 생도 -전라남도 · 제주도-. 환경부182쪽
  23. 환경부(1994) 현존식생도 -경상남도-. 환경부, 125쪽
  24. 吉良龍夫(1976) 陸上 生態系 槪論. 共立出版, 東京, 生態學 講座 2: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