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수피로부터 수증기 활성화에 의한 활성탄 제조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Pine Bark by Steam Activation

  • 문성필 (전북대학교 농업과학 기술연구소) ;
  • 황의동 (전북대학교 농업과학 기술연구소)
  • 발행 : 2002.09.01

초록

소나무 수피로 부터 수증기 활성화 의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활성탄은 세공 구조 및 표면적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활성화를 위하여 3종류의 서로 다른 형태의 로(정치식 수직, 수평로 및 회전식 수평로)가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정치식 수직 및 수평로를 이용하여 수피를 탄화시키고 이를 수증기 활성화시키면, 1,000 ㎡/g이상의 높은 비표면적을 얻기는 어려웠다. 분말상태의 시료를 사용하면 비표면적이 약간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정치식 로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의 결과를 얻기는 어려웠다. 로타리식 수평로에서 수피를 수증기 활성화시키면, 시판 1급 활성탄과 유사한 1,000 ㎡/g 이상의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활성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로타리식 수평로에서 제조된 활성탄은 미세공에서 중세공까지 다양한 공극 분포를 나타내었다.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from pine bark by steam activation, and pore structures and specific surface areas were then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types of kilns were used for the activation. When the stationary-vertical-or stationary-horizontal-type kiln was used for the steam activation to prepare an activated carbon from the bark, it was not possible to produce activated carbon having high specific surface areas exceeding 1,000 $m^2/g$. Using bark powder improved the specific surface area, but it was still not high enough. When the rotary-horizontal-type kiln was used for the activation, the activated carbons prepared had high specific surface areas of more than 1,000$m^2/g$, which was similar to a commercial first-grade activated carbon.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by the rotary kiln had a wide distribution of pore size ranging from microporous to mesoporou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