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토모그래피 방법을 이용한 남한에서의 3차원 P파 속도구조

3-D P-wave Velocity Structure in South Korea using Seismic Tomography

  • 박재우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민경덕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전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제일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발행 : 2002.10.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진 데이터를 이용한 지진 토모그래피 방법을 통해 남한 지역의 3차원 P파 속도모델을 구하였다. 구해진 3차원 속도모델은 정확한 진앙의 위치 결정과 한반도의 지하구조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3차원 속도모델을 구하기 위한 지진토모그래피 방법에서 보다 나은 역산 결과를 얻기 위해 초기모델로서 동시역산방법을 이용한 최소 1차원모델을 사용하였다. 최소 1차원모델의 속도는 0~l9 km사이는 6.04 km/s, 19~32 km차이는 6.45 km/s, 그리고 32~55 km사이는 7.78 km/s 였다. 최소 1차원모델을 초기값으로 하여 3차원 속도모델을 구해본 결과 1층(0~3 km) 에서는 경상분지, 영남육괴, 옥천습곡대에서 높은 속도값을 보이고, 경기육괴에서는 낮은 속도값을 보인다. 2층(3~19 km)에서 경상분지와 연일분지를 제외한 영남육괴 지역에서 높은 속도값이 분포한 반면, 경기육괴와 옥천습곡대에서 낮은 속도값이 분포한다. 3층(19~32 km)에서는 한반도 남부의 속도값은 높은 반면, 경기육괴 내의 SNU, YIN관측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중부지역은 낮은 속도분포를 보인다. 4층(32 km)에서는 최대 속도값이 한반도의 중부와 남서부에, 최소 속도값이 남동부와 해안선에서 나타난다. 각 층의 깊이 분포는 중력자료에 의한 지각구조의 양상과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한다.

3-D P-wave velocity model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earthquake tomography method. This velocity model would be used to locate the exact hypocenter position, and also useful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crustal structure. The simultaneous inversion is used to get the minimum 1-D model and hypo-center relocation, which are used as an initial 3-D velocity model. The velocities in the minimum 1-D model are 6.04 km/s, 6.45 km/s, and 7.78 km/s between the depth of 0-19 km, 19-32 km, and 32-55 km respectively. In the 3-D P-wave velocity model, Layer 1 (0~3 km) has high velocities in Kyongsang basin, Yonglam massif, and Okchon folded belt, and low velocities in Kyonggi massif. In layer 2 (3~19 km) high velocities are predominent around Kyonsang basin and Yongnam massif except Yonil basin, but low velocities exist around Kyonggi massif and Okchon folded belt. In Laye. 3 (19~32 km) high velocities prevail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ut low velocity does throughout the middle except SNU, YIN station in Konggi massif. In Layer 4 (32 km), the maximum velocity is show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ern part, while the minimum velocity in the southeastern and coastal area. The depth of the velocity boundary corresponds to the crustal structure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hich is calculated by gravity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산지질 v.18 한국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김성균;정부홍
  2. 지질학회지 v.31 no.4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김성균
  3. 광산지질 v.16 no.1 지진파를 이용한 남한의 지각구조 연구 김상조;김소구
  4. 자원환경지질 v.33 no.2 중력탐사에 의한 포항~공주~만리포간의 지각구조 연구 민경덕;이영재
  5. 지구과학학회지 v.16 no.2 1991~94년의 지진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지각구조의 정량적 연구 정태웅
  6. 한국자원연구소, KR-00(연차)-01 고응력장 변화와 지각변형사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7. JGR v.81 no.17 Crustal Structure Modeling of Earthquake Data 1. Simultaneous Least Squares Estimation of Hypocenter and Velocity Parameters. Crosson, R.S. https://doi.org/10.1029/JB081i017p03036
  8. Bull. Seism. Soc. Am. v.76 no.4 Three-Dimensional Velocity Structure in Northern California Coast Ranges from Inversion of Local Earthquake Arrival Times. Eberhart-Phillips, D.
  9. Reviews of Geophysics v.26 no.4 Geotomography with Local Earthquake Data. Kissling, E. https://doi.org/10.1029/RG026i004p00659
  10. JGR v.99 no.B10 Initial reference models in local earthquake tomography. Kissling, E.;Ellsworth, W.L.;Eberhart-Phillips, D.;Kradolfer, U. https://doi.org/10.1029/93JB03138
  11. Econ. Environ. Geol. v.31 no.3 3-D Crustal Velocity Tomography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Kim, S.K.;Qinghe Li
  12. J. Geol. Soc. Korea. v.15 On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Lee, Kiehwa
  13. Phys. Earth. Planet. Inter. v.75 Hypocenter-velocity structure coupling in local earthquakes tomography. Thurber, C.H. https://doi.org/10.1016/0031-9201(92)90117-E
  14. Iceland. JGR v.94 no.B12 Tomographic Inversion of Local Earthquake Data From the Hengill-Grensdalur Central Volcano Complex Toomey, D.R.;Foulger, G.R. https://doi.org/10.1029/JB094iB12p17497
  15. Bull. Seismol. Soc. Am. v.61 A fast algorithm for two-point seismic ray tracing. Um, J.;Thurber, C.H.
  16. Econ. Environ. Geol. v.31 no.2 3-D Crustal Velocity Tomograph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im, S.K.;Qinghe 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