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소 1차원모델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3-D P-wave Velocity Structure in South Korea using Seismic Tomography (지진 토모그래피 방법을 이용한 남한에서의 3차원 P파 속도구조)

  • 박재우;민경덕;전정수;제일영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45-454
    • /
    • 2002
  • 3-D P-wave velocity model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earthquake tomography method. This velocity model would be used to locate the exact hypocenter position, and also useful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crustal structure. The simultaneous inversion is used to get the minimum 1-D model and hypo-center relocation, which are used as an initial 3-D velocity model. The velocities in the minimum 1-D model are 6.04 km/s, 6.45 km/s, and 7.78 km/s between the depth of 0-19 km, 19-32 km, and 32-55 km respectively. In the 3-D P-wave velocity model, Layer 1 (0~3 km) has high velocities in Kyongsang basin, Yonglam massif, and Okchon folded belt, and low velocities in Kyonggi massif. In layer 2 (3~19 km) high velocities are predominent around Kyonsang basin and Yongnam massif except Yonil basin, but low velocities exist around Kyonggi massif and Okchon folded belt. In Laye. 3 (19~32 km) high velocities prevail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ut low velocity does throughout the middle except SNU, YIN station in Konggi massif. In Layer 4 (32 km), the maximum velocity is show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ern part, while the minimum velocity in the southeastern and coastal area. The depth of the velocity boundary corresponds to the crustal structure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hich is calculated by gravity data.

3D Model Retrieval Using Geometric Information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검색)

  • Lee Kee-Ho;Kim Nac-Woo;Kim Tae-Yong;Choi Jong-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10C
    • /
    • pp.1007-101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shape based retrieval of 3D models. Since the feature descriptor of 3D model should be invariant to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it is necessary to preprocess the 3D models to represent them in a canonical coordinate system. We use the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o preprocess the 3D models. Also, we apply that to make a MBR(Minimum Boundary Rectangle) and a circumsphere. The proposed algorithm is as follows. We generate a circumsphere around 3D models, where radius equals 1(r=1) and locate each model in the center of the circumsphere. We produce the concentric spheres with a different radius($r_i=i/n,\;i=1,2,{\ldots},n$). After looking for meshes intersected with the concentric spheres, we compute the curvature of the meshes. We use these curvatures as the model descriptor. Experimental results numerically show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roposed algorithm from min. 0.1 to max. 0.6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hods by ANMRR, although our method uses .relatively small bins. This paper uses $R{^*}-tree$ as the indexing.

Automatic Object Recognition in 3D Measuring Data (3차원 측정점으로부터의 객체 자동인식)

  • Ahn, Sung-J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1
    • /
    • pp.47-54
    • /
    • 2009
  • Automatic object recognition in 3D measuring data is of great interest in many application fields e.g. computer vision, reverse engineering and digital factory. In this paper we present a software tool for a fully automatic object det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in unordered and noisy point clouds with a large number of data points. The software consists of three interactive modules each for model selection, point segmentation and model fitting, in which the orthogonal distance fitting (ODF) plays an important role. The ODF algorithms estimate model parameters by minimizing the square sum of the shortest distances between model feature and measurement points. The local quadric surface fitted through ODF to a randomly touched small initial patch of the point cloud provides the necessary initial information for the overall procedures of model selection, point segmentation and model fit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ed software tool will be demonstrated by applying to point clouds.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 Using Unit Models in Aerial Photogrammetry (단위 모델을 이용한 항공 사진의 3차원 위치 해석)

  • 강인준;유복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 no.1
    • /
    • pp.49-57
    • /
    • 1986
  • Block adjustment procedur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mallest units ; the bundle, the model, or the strip.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ing a unit model in aerial photogrammetry is studied, and error distibutions are anayzed concerning the control patterns.

  • PDF

PC에서 운용되는 저가의 솔리드 모델러

  • 김용대
    • CDE review
    • /
    • v.1 no.1
    • /
    • pp.6-11
    • /
    • 1995
  • 지금까지 3차원 솔리드 모델링은 최소한 유닉스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솔리드 모델러가 개발되어 올 년말쯤 발표될 예정으로 있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다음 내용은 95년 CAD Report지에 연재된 그와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식을 발췌한 것이다.

  • PDF

Luminance-Adaptation Effect Just-Noticeable-Distortion Modeling according to Frequency in The DCT Domain (이산 코사인 변환 공간에서의 주파수에 따른 광-적응 효과 최소 인지 왜곡 임계치 모델링)

  • Bae, Sungho;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95-9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DCT 변환 공간상의 배경휘도와 주파수를 고려한 2차원의 개선된 광-적응 효과(luminance adaptation: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LA JND 모델은 배경 휘도가 중간점인 회색에 가까울수록 JND가 낮고, 배경 휘도가 어두워지거나 밝아질수록 JND 값이 증가하는 U자형의 1차원 함수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기존 LA JND 모델은 주파수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DCT와 같은 주파수 공간상 JND 모델로는 부정확 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와 배경휘도에 따른 2차원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주파수에 따른 LA JND 값을 실제 실험을 통해 획득하였다. 실험 방법은 9가지 크기의 배경 휘도가 다르고 공간적 복잡도가 없는 균일한 영상을 대상으로 $8{\times}8$ 실수형 DCT를 수행한 다음, 15가지 경우의 주파수 크기가 다른 계수들에 대해 사람이 인지 할 때 까지 노이즈를 증가시켜서 JND 값을 찾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4 cpd(cycle per degree) 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 에서는 기존의 LA JND 모델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지만 4 cpd보다 큰 주파수 대역에서는 오히려 배경휘도가 작은 값을 가질수록 JND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수행한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주파수가 반영된 2차원 LA JND 모델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Convolutional RBFNNs Pattern Classifier for Two dimensional Face Recognition (2차원 얼굴 인식을 위한 Convolutional RBFNNs 패턴 분류기 설계)

  • Kim, Jong-Bum;Oh, Sung-Kw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55-13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Convolution기법 기반 RBFNNs 패턴 분류기를 사용한 2차원 얼굴인식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된 방법은 특징 추출과 차원축소를 하는 컨볼루션 계층과 부분추출 계층을 교대로 연결하여 2차원 이미지를 1차원의 특징 배열로 만든다. 그 후, 만들어진 1차원의 특징 배열을 RBFNNs 패턴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인식을 수행한다. RBFNNs의 조건부에는 FCM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연결가중치는 1차 선형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소 자승법(LSE : Least Square Estimation)을 사용하여 다항식의 계수를 추정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CMU PIE Database를 사용한다.

  • PDF

One-dimensional Inversion of Electromagnetic Frequency Sounding Data (주파수 수직 전자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

  • Cho In-Ky;Lim Jin-Taik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6 no.4
    • /
    • pp.180-186
    • /
    • 2003
  • We have developed an one-dimensional (ID) inversion program that can invert multiple frequency small-loop EM data from horizontal coplanar (HCP) and vertical coplanar (VCP) configurations. The inverse problem is solved using least-squares method with active constraint balancing (ACB) method and Jacobian matrix is calculated analytically. Tests using synthetic data from simple ID models indicate that conductivity and depth of each layer can be estimated properly when both real and imaginary data are used together.

Optimum Approximation of Linear Time - Invariant Systems by Low - Order Models

  • 김상봉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9 no.1
    • /
    • pp.71-78
    • /
    • 1983
  • A method is given for obtaining low-order models for a linear time-invariant system of high-order by minimizing a functional of the reduction error between the output response of the original system and the low-order model. The method is based on the Astrom's algorithm for the evaluation of complex integrals and the conjugate gradient method of Fletcher-Reeves. An example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is given for approximation of a 4-th order system to be used in the load frequency control of generator systems.

  • PDF

2차원 중성자수송모델 합성법에 의한 노외계측기 교정법

  • 하창주;성기봉;이해찬;유상근;정선교;이덕중;김윤호;김용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335-341
    • /
    • 1997
  • 운전중 노심의 출력변화를 감시하는 노외계측기(Excore Detector)는 노내계측기(Incore Detector)를 통하여 측정되어진 축방향 출력편차(Axial Offset)를 이용하여 교정되고 있다. 노외 계측기의 전류와 축방향출력편차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정하여 노내계측기로 최소한 4회 노심출력을 측정한후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으로 비례상수들을 구하는 기존의 방법을 대신하여, 단순 노외계측기 교정법은 노내계측기로 1회 측정되어진 자료들을 이용하여 계측기 반응상수(Detector Response Factor)를 계산한 후 비례상수를 계산한다. 계측기반응상수는 2차원 중성자수송모델로부터 계산된 weighting factor와 3차원 확산이론으로부터 구한 노심출력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중성자수송계산은 (R-Z)와 (R-$ heta$)모델을 합성하여 3차원 weighting factor를 계산하므로 축방향 영향뿐만 아니라 집합체별 영향을 고려하였다. 또한 노심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근사적인 weighting (actor와 노심출력분포의 사용은 노외계측기의 전류와 계측기반응율의 불일치를 초래하며, 이를 해결하는 상수를 소개하여 보다 정확한 교정결과를 얻도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고리 3호기 9, 10주기 전주기와 11주기초에 적용하여 노심의 연소분포, 냉각수의 온도분포, 노심의 연소도, 노심출력준위등에 대한 단순 노외계측기 교정법의 오차를 분석하여 최적의 노외계측기 교정모델을 제시하였다. 2차원 중성자수송모델 합성법에 의한 단순노외계측기 교정법은 2차원 (R-Z) 중성자수송모델보다 개선된 결과와 평균오차 0.179% 최대 오차 0.624%를 보여주고 있다.하면 조사 후의 조직안정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EX>O가 각각 첨가된 경우, Ar-4vol.%H$_2$ 분위기보다 H$_2$분위기에서 소결했을 때 밀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결정립은 $UO_2$$UO_2$-Li$_2$O의 경우, 수소분위기에서 소결했을 때, (U,Ce)O$_2$와 (U,Ce)O$_2$-Li$_2$O에서는 Ar-4vol.%H$_2$분위기에서 소결했을 때 더욱 성장하였다.설명해 줄 수 있다. 넷째, 불규칙적이며 종잡기 힘들고 단편적인 것으로만 보이던 중간언어도 일정한 체계 속에서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종전의 오류 분석에서는 지나치게 모국어의 영향만 강조하고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는 다분히 추상적인 언급으로 끝났지만 이 분석을 통 해서 배경어, 목표어, 특히 중간규칙의 역할이 괄목할 만한 것임을 가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오류분석 방법은 학습자의 모국어 및 관련 외국어의 음운규칙만 알면 어느 학습대상 외국어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니는 것으로 사료된다.없다. 그렇다면 겹의문사를 [-wh]의리를 지 닌 의문사의 병렬로 분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누구누구를 [주구-이-ν가] [누구누구-이- ν가]로부터 생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