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an Efficient Supply Chain by reduction of lead time with a Focus on Korea Server Manufacturer

리드타임 감소에 의한 효율적 공급체인 구축 - 국내 서버 공급체인을 대상으로 -

  • 신용석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국제본부 다자협력팀원) ;
  • 김태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
  • 문성암 (동의대학교 유통관리학과)
  • Published : 2002.01.01

Abstract

The recent dot-com craze has been one of the main causes that accelerated the growth of internet-related companies in diversity as well as in size. Meanwhile, the domestic market of supplies and equipment for internet businesses has been dominated by major foreign companies. To regain their market positions, the domestic manufacturers had to find the way to build up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such as meeting their customers needs and reducing overall costs. In this study, one domestic PC server manufacturer, which competes fiercely with foreign manufacturers for the top place, has been chosen as a model to evaluate its current supply chain and to find an area that can be improved for a better performance. System Dynamics is used throughout the study. The central concept to system dynamics is understanding how all the objects in a system interact with one another. It focuses on feedback and secondary effects to think through how a strategy might or might not work, depending on how organizational changes are received, and what kinds of consequences emerge. Then, computerized models were built for simulations, each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finally, the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some criteria which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meaningful. The inefficiency that exists in the supply chain was proved to be a thirty-day long purchasing order leadtime, and it wa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supply chain could be formed if the leadtme were reduced to 14 days or 7 days. The results of simulations showed that the overall expected costs in supply chain was the least with the purchasing leadtime being 7 days. The lower average number of parts held as inventory, along with the reduced lost sales, acted as the factor reducing the expected overall costs. Although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final products held as inventory and the total ordering cost, the benefits from lower parts inventory and reduced lost sales were large enough to justify the overall cost reduction.

최근 인터넷 비즈니스의 열풍으로 인하여 국내 인터넷 비즈니스 업체의 수와 사업내용은 여느 선진국가에 못지 않게 높은 성장 및 확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관련 장비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생산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로 1999년 국내 인터넷 관련 장비 시장에서 국내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불과 27%에 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선진 해외 제조업체를 필두로 한 해외 업체의 국내 인터넷 시장 잠식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의 요구 충족 및 원가 절감을 통한 경쟁우위의 확보는 국내 제조업체가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말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몇 년 동안 국내 PC서버 시장의 1위 자리를 놓고 해외 업체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PC서버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이 업체의 공급체인상에 존재하는 비효율, 즉 부품발주주기 간격이 다소 긴 점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할 경우 공급체인 전반의 보유 재고량과 총비용 측면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존에 30일이었던 발주주기를 7일로 단축시켜 시뮬레이션한 결과, 공급체인상의 평균 부품 재고량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판매손실의 감소와 더불어 공급체인 전반에 걸친 총비용의 추정값을 낮추는 결과가 나타났다. 비록 평균 완제품 재고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주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총주문비용이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발주주기의 단축을 통해 얻어진 평균 부품 재고량의 감소와 판매손실의 감소 이득이 이를 충분히 상쇄하여 최종적으로 총비용 추정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