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접근법에 의거한 가정생활설계의 진단기준 마련 및 진단기준의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agnose Scale for Family Life Planning based on the Systems Approach

  • 송혜림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정복지학 전공) ;
  • 이기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 이승미 (우석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부 가정복지학 전공) ;
  • 김유경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 구혜령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발행 : 2002.08.01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defining and applying the diagnose scales to the household life in context with the family life planning based on the systems approach. In this study the household life consisted in 4 life subareas, i.e. time use, nonhuman resources(housing and durable goods), household financial and communication/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family memb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200 full-time housewives who live in Seoul, Kyungki, Chungbuk, Jeonnam and Jeonbuk, Kyungnam and Kyungbuk and have at least 1 child in school 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4 areas of household life are in the level under the diagnose scale tot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family life planning and the Problem solving of general household life. And the scales that are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the self family life diagnose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가정관리학회 27차 총회 및 학술대회 자료집 21세기 주부문화연구소를 통한 가정자원 관리학 연구의 현장실천성 모색 구혜령;조영희
  2.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1 no.1 가계의 경제적 안정도 : 단기지표와 장기지표의 비교 김경자
  3. 대한가정학회지 v.35 no.6 가족의 응집 및 적응 척도에 관한 연구 Ⅱ 김수연;김득성
  4. 대한가정학회지 v.39 no.7 델파이조사를 이요한 결혼준비진단에 관한 기초연구 김혜선;박희성
  5.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민하영
  6. 가정생활개선 교육프로그램 '건전한 가정 우리가 가꾸어요' (사)한국가정생활개선진흥회
  7. 복지주거기준제도 도입을 위한 주거기준 및 정책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특별시
  8.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3 no.1 가계의 부채부담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성영애;양세정
  9. 한국가정관리학회 25차 총회 및 학술대회 자료집 가정복지의 개념에 대한 가정학적 관점의 정립 송혜림
  10. 한국가정과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주부 대상 인터넷 사이트 운영의 실제 송혜림
  11.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3 no.1 '가족의 건강도'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어은주;유영주
  12. 한국가정관리학회 29차 춘계 총회 및 학술대회 <가정관리학분야의 통합적 실천> 자료집 가정생활설계를 위한 분석 및 진단프로그램-가정자원관리영역의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이기영;구혜령;송혜림;이승미
  13. 대한가정학회지 v.32 no.1 도시 근로자가정 부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이기영;김외숙;서창원;이승미
  14.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9 no.4 가정생활구조분석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기영;송혜림;이승미;구혜령;김유경;김선미
  1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가족의 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이승미
  16. 가정기구관리론 이정우
  17. 한국가정관리학회 22차 임시총회 및 학술대회 자료집 가정학 전공자는 가정복지사이다 임정빈
  18. 대한가정학회지 v.31 no.3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조희금
  19. 한국가정관리학회 28차 학술대회 자료집 건전가정 운영을 위한 가정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생활설계를 중심으로 지영숙;이영호
  20.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9 no.1 생활설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지영숙;이영호
  21.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1 가족 적응력,응집성 평가척도(FACES)에 관한 연구 고찰 최연실
  22. 2001 여성 통계 연보 한국여성개발원
  23.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6 no.2 서울시 거주자의 주택상담과 자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홍형욱;강순주;권오정;이경희;주서령;최재순;최정신
  24.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1 no.2 가계의 재정적 안정에 관한 연구 황덕순
  25. Family Resource Management Deacon R.;Firebaugh M.
  26. Einfuhrung in die Haushaltsanalyse v.Schweitzer
  27. Haushaltsfuhrung v.Schweit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