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ction of TMV, ToMV, and CMV from Tomato Seeds and Plants

토마토 종자와 식물체로부터의 TMV, ToMV 및 CMV 검출

  • 박경훈 (충북대학교 농생물학과) ;
  • 차병진 (충북대학교 농생물학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For the detection of Tobacco masaic virus (TMV), Tomato mosaic virus (ToM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tomato seeds of 11 table tomato and 7 cherry tomato cultivars were assayed by DAS-ELISA. Among the cultivars, TMV and ToMV were detected from 9 cultivars at the rates lower than 20% and 16%, respectively. In the assay on seed transmission rates, ToMV and CMV were detected as high as 24% and 8% , respectively, but TMV was not detected. In field survey on these viruses from tomato plants of 10 different places in Chungbuk province, ToMV and CMV were detected from most fields. TMV was detected from only 3 fields. The highest detection rates of these viruses were recorded in Cheongwon for TMV Chungju for ToMV, and the other locality of Chungju far CMV.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stage of tomato and infection rates. TMV usually caused mosaic on leaves while ToMV caused various symptoms including yellows, necrosis, and mottling. CMV-infected tomato plants showed symptoms of shoestring, fern leaf, and yellows.

시판중인 18품종의 토마토 종자에 대하여 TMV, ToMV, CMV의 오염률과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TMV와 ToMV는 각각 9품종에서 오염이 확인되었으며, CMV는 3품종에서 바이러스 오염을 확인하였다. TMV는 3.8%로 가장 높은 오염률을 보였고, ToMV는 2.6%, CMV는 1.4%의 오염률을 보였다. 자연적인 종자 전반률을 조사한 결과, 공시한 9품종의 토마토종자에서 ToMV는 3품종에서 4.4%, CMV는 4품종에서 2.2%의 종자 전반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MV는 본실험에서는 종자 전반을 확인할 수 없었다. 1999년 10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충청북도 주요 토마토 재배지역에서 TMV, ToMV CMV의 지역별 바이러스 감염률과 병정별 감염률 및 생육시기에 따른 세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각 지역의 토마토 포장에서는 잎말림, 괴저 및 왜화 등의 다양한 병징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포장에서 잎말림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모자이크 증상과 누렁증상 등의 병징도 많이 관찰되었으며, 로꾸산마루 품종에서 다양한 병징이 관찰되었다. 지역별로는 옥산 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과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 및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TMV와 ToMV 및 CMV의 감염률이 높았으며, ToMV의 감염률은 가금지역의 꼬꼬 포장에서 43.3%로 가장 높았으며, CMV의 감염률은 노은지역의 로꾸산마루 포장에서 40.0%로 다른 포장보다 높았다. 병징에 따른 바이러스의 감염률은 누렁증상을 보이는 병징에서 ToMV가 가장 높았고, 괴저 증상을 보이는 잎에서는 CMV가 가장 높았으며, 잎말림 과총생 및 얼룩무늬 등 대부분의 병정에서 ToMV의 감염을 확인하였고, TMV의 감염률은 낮았다. 생육단계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생육초기보다 생육중기와 후기가 바이러스의 오염률이 높았으며, 생육중기와 생육후기의 감염률은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륜. 1985.토마토의 바이러스 감염과 토마토 모자이크병 방제애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6pp
  2. 서전규. 1980.토마토에 발생하는 TMV의 계통검정 및 품종의 저항성.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pp
  3. Broadbent, L. 1965. The epidemiology of tomato mosaic II. Seedtransmission of TMV. Appt. Biol. 56: 177-205 https://doi.org/10.1111/j.1744-7348.1965.tb01227.x
  4. Broadbent, L. 1976. Epidemiology and control of Tomato mosaicvirus. Ann. Rev. Phytopathol. 14: 76-96
  5. dark, M. F. and Adams, A. N. 1977.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late method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ro the detection of plant viruses. J. Gen. ViroIogy 34: 475-484 https://doi.org/10.1099/0022-1317-34-3-475
  6. Francki, R, I. B., MossoP, D. W. and Hatta, T. 1979. Cucumber mosaic virus. Description of plant viruses, No.213 Common-wealth Institute and Association of Applied BiologisK, Kew, Survey, England. p.6
  7. Garcia, L. I., Serra, M. T., Alone, E., Wicke, M. L. and Diaz, R. J. 1990. The role of non-vectored soil transmission as a primary source of infection by pepper mild mottle and cucumber mosaic viruses in glasshouse-grown capsicum in Australia;Phytopathotogy 126: 353-360
  8. Hollings, M. and Huttinga, H. 1976. Tomato mosaic virus. CMI/AAB. p. 156
  9. Lanter, J. M., Mcguire, J. M. and Goode, M. J. 1982. Persistence of Tomato mosaic virus in tomato debris and soil under field conditions. Ptant Dis. 66: 552-555 https://doi.org/10.1094/PD-66-552
  10. Mclaughin, M. R., Bamett, O.W., Burrows, P. M. and Baum, R. H. 1981. Improved ELISA condtions for detections of plant viruses. J. Vtrot. Methods. 3: 13-25
  11. Park, E. K., Lee, C. H., Lee, Y. K, and Kim, Y. H. 1997. Bio-logical, Physio-chem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MV strains isolated from tobacco, tomato, and pepper strain plants. J. Kor. Soc. Tob. Sci. 19: 1-10
  12. Pelham, J. 1972. Strain-genotype interacdon of Tobacco mosaic virus in tomato. Ann. Appt. Biot. 71: 219-228 https://doi.org/10.1111/j.1744-7348.1972.tb05085.x
  13. Taylor, R. H., Grogan, R. G. and Kimble, K. A. 1961. Trans-mission of Tobacco mosaic virus in tomato seed. Phytopathotogy 51: 837-842
  14. Zitter, T. A. 1993. Infectious diseases, In: Comendium of tomato diseases, Ed. by Jones, J. B., Jones, J. R, Stall, R. E. and Zitter, T. A. APS Press. pp.9-60

Cited by

  1. Construction of Antibodies for Detection and Diagnosis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from Watermelon Plants vol.22, pp.1, 2006, https://doi.org/10.5423/PPJ.2006.22.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