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Policy in Germany - Focused on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ruments of Major Political Parties

독일 가족정책의 변천에 대한 연구 -주요 정당의 정책이념과 정책수단의 변화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 of family policy in Germany focused on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ruments of CDU/CSU and SPD. In past 50 years after the 2. world war the family policy in Germany has been influenced by ideologies of 2 major political parties. With conservative political perspectives, CDU and CSU intend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 family and traditional division of domestic work. Therefore, they prefer indirect support methods by income tax benefit for family as political instrument. SPD with liberal political perspectives intends to support working married women and children. As political instrument SPD prefers allowance for child to indirect support system. This different political perspectives of 2 major parties have been reflected automatically on the federal administrative system(BMFSFJ) which takes responsibility of family policy in Germany. Through the analysis of attitudes to family policy of major parties in Germany this paper attempts to be manifest the problem of korean family policy and to find implications of german modell.

독일의 가족정책은 집권당이 교체될 때마다 그 당의 정치이념에 따라 정책의 방향과 정책전개수단에 있어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면서 발전해 왔고, 각 정당이 추구하는 정책이념은 '가족부(Bundesministerium fuel Familie, Senioren Frauen, Jugend)'라는 가족전담행정부서를 통해 실현되어 왔다. 그러나 정권의 변화로 인한 연방정부의 가족정책의 변화는 당연히 가족부의 집행업무와 정책전개수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부의 명칭은 이를 반영하여 여러 번에 걸쳐 교체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가족부의 정책업무와 구체적인 사업들은 '가족' 또는 '여성과 아동'이라는 정책의 대상집단에 대한 집권당의 이념을 대변하는 도구로 활용되어 왔고. 이는 정책의 목표가 핵가족의 복지향상이 되어야 할 것인지 아니면 개별 가족구성원의 복지에 우위를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문제로 귀결되어 왔다. 이러한 독일 가족정책의 이념적 변천은 아직 가족정책에 대한 방향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인지 못하고 정책의 스팩트럼은 잔여적 복지에 머물러 있으며, 정당별 가족정책과 가족전담 중앙행정부서가 존재하지 않는 우리나라의 가족 복지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천 . 윤혜미(2000), '가족복지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2. 김재경(2000), '통일 후 독일의 여성 및 가족정책', '한 . 독사회과학논총', 한독사회과학회, 10(1), 1-29
  3. 양현모(1996), '주요제국의 행정제도 동향조사 (독일의 정부조직)', 한국행정연구원
  4. 엄규숙(1998), '서유럽의 복지제도와 여성정책', '연세여성연구', (4), 89-114
  5. 이진숙(2000), '사회과학적 토의에 비추어진 독일의 가족제도와 가족정책: 가족보고서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2(1), 한국가족학회, 93-122
  6. (2001), '가족내 간병과 간병보험의 복지정책적 함의', '한국인구학', 한국인구학회, 24, 183-202
  7. 정병기(2002), '독일 보수주의의 변천과 본질', '위클리 솔', 1월 14일자 보도
  8. 정재훈(2000), '경제적 관계의 세계화와 복지국가 발전에 대한 논의 - 독일 페미니즘의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0, 191-225
  9. 조흥식 . 김인수 . 김혜란 . 김혜련 . 신은주(2001), '가족복지학', 학지사
  10. 한겨레신문사(2002), '한겨레21', 3월 6일 발간, 제399호
  11. Bundesministerium fur Familie und Senioren (Hg.) (1991), Leitsatze undEmpfehlungen zur Familienpolitik im vereinigten Deutschland, Stuttgart
  12. Bundesministerium fur Familie, Senioren, Frauen, Jugend(2002), StaatlicheHilfen fur Familien
  13. Gerlach, Irene (1996), Familie und staatliches Handeln. Ideologic undpolitische Praxis in Deutschland, Opladen
  14. Kaufmann, Franz-Xaver (1995), Zukunft der Familie im vereintenDeutschland. Gesellschaftliche und politische Bedingungen, Munchen
  15. (1996), Modernisierurtgsschube, Familie und Sozialstaat, Munchen
  16. Lampert, Heinz (1996), Prioritat fur die Fomilie. Pladoyer fur die rationale Familienpolitik, Berlin
  17. Munch, Ursula (1990), Familienpolitik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MaBnahmen, Defizite, Organisation familienpolitischer Staatstatigkeit,Freiburg im Breisgau
  18. Schelsky. Helmut(1954), 'Der Irrtum eines Familienministers',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08, 06, 1954
  19. Statistisches Bundesamt (Hg.) (1992), Handbuch zur ortlichen und regionalen Familienpolitik, Stuttgart
  20. Tonnies, Ferdinand (1887),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Berlin
  21. Willeke, F.U. . Onken, R. (1990), Allgemeine Familienlastenausgleich in der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e empirische Analyse zu dreiJahrzehnten monetarer Familienpolitik, Frankfurt/Main
  22. Wingen, Max (1997), Familienpolitik. Grundlagen und aktuelle Probleme, Bonn